해외 배당 8조원 지급에…경상수지 흑자 6년만에 최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4월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6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상품수지 흑자 규모가 준 데다 해외 배당금 지급이 역대 최대로 불어난 탓이다.

17억7000만 달러 흑자 #상품수지는 흑자 축소 #서비스수지는 적자 축소 #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18년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 4월 경상수지는 17억7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흑자 행진은 2012년 3월 이후 74개월째다.

 흑자 규모는 2012년 4월(9000만 달러) 이후 가장 작았다. 노충식 한국은행 금융통계부장은 "상품수지 흑자 규모가 줄고 배당지급이 확대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상품수지는 103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 지난해 4월(115억4000만 달러)보다 줄었다. 수출은 반도체 시장 호황과 세계 교역 회복세로 515억1000만 달러를 기록, 지난해 4월(481억3000만 달러)보다 7% 늘었다.

수입은 이보다 증가 폭이 컸다. 1년 전(365억9000만 달러)보다 12.5% 증가한 411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원유도입 단가 상승, 반도체 제조용 장비 도입 등이 영향을 줬다.

자료:한국은행

자료:한국은행

배당과 이자 등 투자소득이 포함되는 본원소득수지는 58억6000만 달러 적자를 냈다. 적자 폭은 사상 최대였다. 배당소득 수지가 65억1000만 달러 적자로, 역대 최대를 기록한 영향이 컸다. 배당지급도 사상 최대인 75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노 부장은 "국내엔 12월 결산법인이 많은데, 이들 회사의 배당이 대체로 4월에 집중된다"고 말했다.

4월 서비스수지는 19억8000만 달러 적자로, 지난해 5월(16억4000만 달러 적자) 이후 적자 규모가 가장 작았다. 고고도 미사일 방어(사드·THAAD) 체계 배치와 관련한 중국의 보복 조치 완화 등으로 중국인 관광객이 늘면서 여행수지 적자가 줄어든 영향이 컸다.

여행수지는 10억9000만 달러 적자로, 2016년 12월(10억3000만 달러 적자) 이후 가장 작았다. 해외여행 수요 증가가 이어지며 출국자가 1년 전보다 11.3% 늘었지만, 입국자 수는 23.8% 늘었다. 중국인 입국자가 지난해 4월보다 60.9%, 일본인 입국자가 29% 각각 증가했다.

황의영 기자 apex@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