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경원선’과 '옛 도로'도 남북 연결 추진하자…경기 중북부 반발

중앙일보

입력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에 있는 폐쇄된 경원선 철길과 교각. 이곳은 관광용으로 보존돼 있다. 전익진 기자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에 있는 폐쇄된 경원선 철길과 교각. 이곳은 관광용으로 보존돼 있다. 전익진 기자

‘판문점 선언’으로 추진될 남북 철도·도로 연결 사업에 경원선이 제외되자 이 철로가 지나는 연천·동두천 등 경기 중북부 지역이 반발하고 나섰다. 경원선은 한반도 서쪽 경의선과 동쪽 동해선 사이 한반도 중앙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철도망이다.

‘판문점 선언’ 철도 연결에 경원선 제외돼 #남북 철도 도로 연결에 경원선 빠지자 반발 #“시베리아 횡단철도 잇는 최단거리 노선” #“경의ㆍ동해선과 동시 추진해야 효과 커져” #"북한 연결된 연천 지역 도로도 복원해야"

남북은 지난 27일 판문점 선언을 통해 “경의선(서울∼신의주)과 동해선(부산∼원산)을 비롯한 도로를 연결하고 현대화해 활용하기 위한 실천적인 대책을 취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경원선을 달리는 통근열차. 지금은 폐지된 통일호를 떠올리게 만드는 통근열차 내부. [중앙포토]

경원선을 달리는 통근열차. 지금은 폐지된 통일호를 떠올리게 만드는 통근열차 내부. [중앙포토]

이와 관련, 정의돌 연천군 부군수는 29일 “경원선은 수도권에서 시베리아 횡단철도(TSR)를 잇는 최단거리 노선이어서 경의선, 동해선보다 경제성이 좋은 철도 노선”이라며 “경원선이 남북 간 운행을 재개하면 한반도와 러시아, 유럽을 잇는 유라시아 철도망이 구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서부·중부·동부 3개 철도 연결이 동시에 추진되면 남북교류협력의 성과가 한반도 전역에 골고루 퍼져나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바른미래당 이언주 국회의원을 비롯한 의정부, 양주, 동두천·연천 등 경기 중북부 지역위원장들은 오는 30일 낮 12시 동두천 시내에서 경원선 남북 연결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기로 했다.

1914년 8월 개통된 경원선은 서울 용산∼의정부∼양주∼동두천∼연천∼철원(백마고지)∼북한 원산 등 223.7㎞를 운행하며 물자수송을 담당했다. 이후 1945년 남북 분단으로 단절됐고 6·25 전쟁으로 비무장지대(DMZ) 등 남북 접경구간 31㎞가 파괴됐다. 현재는 서울 용산∼철원 백마고지역 구간만 운행된다.

경원선 노선도. [중앙포토]

경원선 노선도. [중앙포토]

분단과 경원선 단절 70년 만인 2015년 통일의 중요성이 재인식되면서 경원선 남측 구간 9.3㎞ 복원이 추진됐다. 군사분계선 구간 2.4㎞와 북측 구간은 북한과 합의 후 진행하기로 했다.
같은 해 8월 남북 연결에 대한 기대를 모으며 철원 백마고지역에서 기공식까지 열렸으나 토지 매입 지연 등을 이유로 현재까지 공사가 중단된 상태다. 복원 당시 경원선은 경의선과 동해선보다 한반도 종단 열차로 더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경의선과 동해선 모두 남북 구간이 연결됐으나 경의선은 평양을 지나기 때문에 북측이 부정적이고, 동해선은 남측의 제진∼강릉 110㎞가 끊겨 복원하려면 2조원 이상을 추가로 투입해야 한다고 당시 정부는 분석했다.
그러나 경기 중북부 지자체 등은 한 가닥 기대를 걸고 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지난 2월 “경원선 복원 공사 재개를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어서다.

경원선 철도복원공사 남측 추진 구간. [연합뉴스]

경원선 철도복원공사 남측 추진 구간. [연합뉴스]

경원선 철도와 함께 국토 중앙인 연천 지역에서도 남북 도로가 연결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종만 연천군의회 의장은 “연천군 민통선 내 태풍전망대 인근 임진강변을 따라 남북을 잇던 DMZ 구간의 옛길(376번 지방도)을 복원해 국토의 중앙을 남북으로 잇는 연결도로도 시급히 개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옛길은 현재 군 작전용의 도로로 사용 중이기에 남북이 당장 연결해 개통할 수 있다”며 “이후 도로를 확장하거나 인근으로 새길을 내는 방식으로 남북 연결도로 개통을 추진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천군과 군의회는 ‘판문점 선언’과 관련, 앞으로 당장 실현 가능하고 지속적인 교류가 가능한 분야부터 남북교류를 본격화해 나가면서 낙후된 접경도시인 연천을 남북교류 거점 도시 및 세계적 관광생태 도시로 변모시킨다는 방침이다.

연천·동두천=전익진 기자 ijj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