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북한 표준시를 서울 표준시로 통일키로 합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청와대 윤영찬 국민소통수석 [연합뉴스]

청와대 윤영찬 국민소통수석 [연합뉴스]

남북이 현재 30분 차이를 보이는 표준시를 통일하는 데 합의했다.

29일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남북정상회담 관련 추가브리핑에서 이같은 합의사항을 공개했다.

남북한 사이에 30분 차이가 났던 표준시간이 2년 8개월여 만에 서울 표준시로 통일된다.

북한의 표준시는 평양을 기준으로 한국 시간과 30분 차이가 난다. 서울이 오전 11시라면 평양은 오전 10시 30분으로유지됐다.

남북한은 기존에 모두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하는 일본의 표준시인 ‘동경시’를 썼다. 하지만 이후 북한이 일제 잔재 청산을 내세워 동경 127.5도를 기준으로 새롭게 ‘평양시’를 만들었다.

북한은 지난 2015년 8월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우리나라 표준시를 빼앗았다”며 광복 70주년인 그해 8월 15일부터 기존에 사용하던 표준시간을 동경시보다 30분 늦춰 사용해 왔다.

4·27 남북정상회담 때는 두 정상이 군사분계선(MDL)을 넘는 과정에서 취재 기자 간 표준시 때문에 잠시 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윤 수석은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27일 오후 문재인 대통령 내외 간 환담회에서 ‘서울과 평양의 시간을 가리키는 시계가 있었는데 이를 보니 가슴이 아팠다’며 ‘북과 남의 시간부터 통일하자’고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정은 위원장은 ‘우리가 바꾼 것이니 우리가 원래대로 바꾸겠다’고 전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쇄할 때 이를 대외에 공개하기로 합의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20일 개최한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기하고 향후 핵실험·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중단을 발표한 바 있다. 풍계리 핵실험장은 북한의 6차례 핵실험이 모두 이뤄진 장소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