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자식 향한 '내리사랑' 뇌과학적 근거 찾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부모가 자식에게 한 없이 주는 '내리사랑'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는 뇌과학적 실마리가 발견됐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미국 하버드대 연구진은 통상 내리사랑으로 일컬어지는 '부모 행동'을 조절하는 뇌 부위를 찾아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 11일 자를 통해 밝혔다. 하버드대 연구진은 쥐를 통해 실험을 진행했다.

쥐의 경우 '부모'가 되면 보금자리를 만들고, 새끼들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새끼 쥐를 보듬어주는 시간이 늘어나는 반면, 다른 쥐에 대한 관심은 줄어든다.

연구진은 부모가 되기 전후의 행동 변화가 가장 잘 나타나는 수컷 쥐를 실험했다. 교미 경험이 없는 '젊은이' 수컷 쥐는 다른 새끼 쥐를 물어 죽이는 등 매우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지만, 암컷과 교미한 뒤 자신의 새끼가 태어날 때쯤 되면 이런 공격성이 현저히 줄어든다.

다양한 피질 영역이 복잡하게 연결돼 있는 생쥐 뇌의 3차원 이미지. [자료제공=앨런뇌과학연구소]

다양한 피질 영역이 복잡하게 연결돼 있는 생쥐 뇌의 3차원 이미지. [자료제공=앨런뇌과학연구소]

연구진은 이같은 쥐의 부모 행동이 뇌 시상하부의 전시각중추(medial preoptic area)와 관련돼 있음을 밝혀냈다. 이 부위는 수컷 쥐의 성적 행동을 담당한다고 알려진 곳이기도 하다.

연구진은 전시각중추 중에서도 '갈라닌'(galanin)이라는 물질을 만들어 내는 신경세포가 부모 행동과 관련돼 있음을 실험으로 입증해냈다. 갈라닌 발현 세포를 인위적으로 활성화하자 '젊은이 쥐'도 마치 '아빠 쥐'처럼 공격성이 줄어들고 새끼를 보듬는 행동을 보였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연구진은 암컷 쥐 역시 수컷 쥐와 같은 뇌 부위가 부모 행동을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를 진행한 캐서린 듀락 교수는 "포유류의 부모 행동 같은 복잡한 사회적 행동을 세부적인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게 됐다"며 "이 연구는 언젠가 산후우울증이 있는 엄마와 아기의 유대를 돕는 방법을 고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용환 기자 jeong.yonghwan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