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부모의 자식 사랑‘ 설명할 뇌 부위 찾았다

중앙일보

입력

새끼를 돌보는 쥐의 모습 [사진 Dulac Lab/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Harvard]

새끼를 돌보는 쥐의 모습 [사진 Dulac Lab/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Harvard]

미국 하버드대 연구진이 ‘부모 행동’을 조절하는 뇌 부위를 찾아냈다. ‘부모행동’은 흔히들 ‘내리사랑’으로 불리는, 부모가 자식에게 갖는 무조건적인 애정 행동을 뜻한다.

1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실린 하버드대 뇌과학센터 요하네스 쾰교수 팀의 논문 ‘부모 행동 기저의 기능적 회로구조’에 따르면,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나타나는 ‘부모행동’은 뇌 시상하부의 전시각중추(medial preoptic area)와 관련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 부위는 수컷 쥐의 성적 행동을 담당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실험을 통해 ‘갈라닌(galanin)'이라는 화학 물질을 만들어내는 신경세포가 ’부모행동‘과 관련돼있음을 입증했다. 갈라닌 발현 세포를 인위적으로 활성화했더니, 자식을 낳지 않은 젊은 쥐도 ’아빠 쥐‘처럼 공격성이 줄어들고 새끼를 보듬는 행동을 보였다.

쥐의 경우 '부모'가 되면 보금자리를 만들고, 새끼들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새끼 쥐를 보듬어주는 시간이 늘어나는 반면, 다른 쥐에 대한 관심은 줄어든다. 이런 변화는 특히 수컷 쥐에서 뚜렷이 관찰된다. 교미 경험이 없는 '젊은이' 수컷 쥐는 다른 새끼 쥐를 물어 죽이는 등 매우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지만, 암컷과 교미한 뒤 자신의 새끼가 태어날 때쯤 되면 이런 공격성이 현저히 줄어든다고 한다.

연구진은 암컷 쥐 역시 수컷 쥐와 같은 뇌 부위의 활성화가 부모 행동을 유도하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를 진행한 하버드대 뇌과학센터 캐서린 듀락 교수는 "포유류의 부모 행동 같은 복잡한 사회적 행동을 세부적인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게 됐다"며 "이 연구는 언젠가 산후우울증이 있는 엄마와 아기의 유대를 돕는 방법을 고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김정연 기자 kim.jeongy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