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日 자국산 전투기 개발 포기…F-35A 더 살 수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일본 항공자위대 F-2 전투기의 기동 훈련 모습. [사진 항공자위대]

일본 항공자위대 F-2 전투기의 기동 훈련 모습. [사진 항공자위대]

일본이 차세대 자국산 전투기의 국내 개발을 사실상 포기했다.
아사히신문은 “방위성이 2030년경 퇴역하는 항공자위대 F-2 전투기의 후속기에 대해 국내 개발을 단념하는 쪽으로 최종 조정 중”이라고 5일 전했다.

아사히신문 "F-2 후속기 국산 개발 포기" #올해 말 '국제 공동개발' 공식화할 수도 #정부 내에선 F-35A 추가 도입론도 나와 #F-35만 100대 이상 보유하게 될 수도

신문에 따르면 일본은 후속기를 국제 공동 개발 방식으로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
또 미국으로부터 F-35A 스텔스 전투기를 추가 도입하는 대안도 방위성 내에서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항공자위대 F-2 전투기들이 이륙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 항공자위대]

일본 항공자위대 F-2 전투기들이 이륙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 항공자위대]

지난 2000년에 도입된 F-2 전투기는 록히드마틴의 F-16 기체를 바탕으로 미·일 양국이 공동 개발한 기종이다.
현재 약 90대의 전투기가 아오모리현 미사와 기지 등에 배치돼 있다.

방위성은 노후화로 도태되고 있는 F-4(약 50대) 전투기를 대신해 F-35A 도입 사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 1월 초도기가 미사와 기지에 도착했고, 연내 9기가 더 배치될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5일 일본 요코타 미군 기지를 방문해 F-35A 전투기(오른쪽)를 배경으로 연설을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5일 일본 요코타 미군 기지를 방문해 F-35A 전투기(오른쪽)를 배경으로 연설을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당초 F-2는 후속기를 둘러싸고 ▶국산 개발▶국제 공동개발▶개량 사업(수명 연장) 등 세 가지 방안이 검토됐다.
방위성은 그중 국산 개발 방향에 무게를 실어왔다.
주요 부품 등 전투기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선 개발 능력이 필요하다는 판단이었다.

그러나 재무성이 브레이크를 걸었다.
개발 비용이 너무 많다며 난색을 나타낸 것이다.
일본 정부가 지원했던 미쓰비시중공업의 자국산 중형 제트여객기 MRJ 개발사업이 고전을 겪은 것도 한몫했다고 아사히는 평가했다.
그만큼 전투기 개발 리스크가 크다는 지적이다.

미쓰비시중공업이 개발한 중형 제트여객기 MRJ가 이륙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미쓰비시중공업이 개발한 중형 제트여객기 MRJ가 이륙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방위성은 내년도 예산 요구에서 F-2 후속기의 국산 개발과 관련한 경비를 올리지 않을 방침이다.
대신 올해 말 결정하는 차기 중기방위력정비계획(2019~2023년)에 국제 공동개발 방식을 공식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 내에선 F-2 후속기를 개발하지 않고, F-35A를 추가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이미 42대를 도입하기로 계약한 데 이어 추가 20대 구매를 저울질하는 가운데 나온 얘기여서 예산 문제 등 파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추가 20대는 공군형인 F-35A가 아닌 미 해병대가 운용 중인 수직 이착륙 기종인 F-35B로 결정될 수도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부는 F-35B를 함재기로 사용하기 위해 이즈모급 경항공모함을 개조하거나 새로운 호위함을 도입하려고 검토 중이다.

미국 해병대 제121 전투비행대대 F-35B 스텔스 전투기가 지난해 11월 15일 일본 야마구치현 이와쿠니 기지에 수직 착륙하고 있다. [사진 미 태평양함대 사령부]

미국 해병대 제121 전투비행대대 F-35B 스텔스 전투기가 지난해 11월 15일 일본 야마구치현 이와쿠니 기지에 수직 착륙하고 있다. [사진 미 태평양함대 사령부]

만일 F-2 후속기마저 F-35A로 결정날 경우 일본의 F-35 스텔스기 보유 대수는 100대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항공자위대는 주력기인 F-15J를 약 200대 정도 운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일본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압박 등 여러 현안을 고려해 최종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상진 기자 kine3@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