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화성-15형은 옛 소련의 ICBM인 UR-100과 유사"

중앙일보

입력

지난 8일 북한 건군절 기념 열병식에 등장한 화성-15형 미사일. [연합]

지난 8일 북한 건군절 기념 열병식에 등장한 화성-15형 미사일. [연합]

지난해 11월 29일 북한이 시험발사에 성공했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5형이 옛 소련의 UR-100과 유사하다고 영국의 군사전문매체인 제인스가 20일 밝혔다.

옛 소련의 ICBM인 UR-100[출처 Air Power Australia]

옛 소련의 ICBM인 UR-100[출처 Air Power Australia]

북한은 당시 화성-15형이 53분 동안 최대 고도 4475㎞, 사거리 950㎞를 비행한 뒤 동해상 목표 수역에 탄착했다고 밝혔다. 이 데이터를 통해 화성-15형은 1만㎞ 이상을 날아갈 수 있는 ICBM급 미사일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북한은 지난 8일 평양에서 열린 건군절 열병식 때 화성-15 미사일 4기를 선보였다. UR-100(SS-11 세고)은 옛 소련이 1967년부터 배치한 2단 액체 추진 ICBM이다.

지난해 11월 29일 북한은 화성-15형 미사일의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 [사진 조선중앙통신]

지난해 11월 29일 북한은 화성-15형 미사일의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 [사진 조선중앙통신]

제인스는 독일의 미사일 전문가인 마르쿠스 실러와 미국의 영상 전문가인 닉 핸슨이 작성한 보고서를 통해 “북한이 화성-15형 ICBM을 개발하면서 외부 지식과 기술, 하드웨어를 활용했을 가능성이 아주 크다”고 전했다.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화성-15형 분석 [자료 제인스]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화성-15형 분석 [자료 제인스]

제인스의 보고서는 “재원과 시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북한이 외부 지원 없이 ICBM을 설계ㆍ개발하고 엔진 테스트를 실행하며 부품을 조립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실러와 핸슨은 북한과 옛 소련 미사일의 유사성을 고려할 때 북한의 미사일은 중국이나 이란에서 기술을 이전받은 것이 아니라 옛 소련 기술을 재활용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 연구진에 따르면 화성-15형의 크기와 모양은 UR-100과 비슷하다. UR-100은 길이가 17m이며, 화성-15형은 22m 가량으로 추정된다. 두 사람은 화성-15형의 엔진은 옛 소련이 1965년 처음 제작한 RD-250 미사일 엔진과 같다고 덧붙였다.

화성-15형의 엔진은 옛 소련의 액체엔진인 RD-250와 비슷하다. [자료 제인스]

화성-15형의 엔진은 옛 소련의 액체엔진인 RD-250와 비슷하다. [자료 제인스]

군 관계자는 “옛 소련의 붕괴 이후 상당수 미사일 연구진이 북한에 건너가 관련 기술과 도면을 넘겨줬다”고 말했다.

화성-15형은 옛 소련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UR-100과 일부 다른 점이 있지만 대체로 흡사하다. [자료 제인스]

화성-15형은 옛 소련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UR-100과 일부 다른 점이 있지만 대체로 흡사하다. [자료 제인스]

제인스의 닐 애시다운 부편집장은 “UR-100 미사일 계열과 RD-250 엔진은 수십 년 동안 존재해 왔다”며 “북한이 온라인을 포함해 다양한 출처를 통해 관련 정보를 입수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화성-15형은 옛 소련이 1960년대 사용한 미사일 발사대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자료 제인스]

화성-15형은 옛 소련이 1960년대 사용한 미사일 발사대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자료 제인스]

이 보고서는 지난해 시험 발사 이전에는 화성-15형 관련 정보가 나오지 않았다는 점, 화성-15형이 주요 부분에 있어 북한의 이전 미사일과 다르다는 점을 짚었다. 이는 북한이 다양한 탄도 미사일을 동시에 개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게 보고서의 결론이다. 또 보고서는 북한이 신형 액체추진 장거리미사일을 추가로 개발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