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이식 10명 중 1명 5년 내 암 발생”…국내 연구팀 최초 규명

중앙일보

입력

심장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 10명 중 1명은 5년 내에 각종 암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심장이식 환자의 암 발생 위험을 구체적으로 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심장이식 수술장면. [중앙포토]

심장이식 수술장면. [중앙포토]

한림대 의대 유규형·한성우·윤종찬 교수팀과 연세대 의대 강석민 교수팀은 전 세계 심장이식 환자 자료가 모여 있는 ‘세계심폐이식학회’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관찰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이 2000∼2011년 심장이식을 받은 환자 중 1년 넘게 생존한 1만7587명을 5년 이상 추적 관찰한 결과 1877명(10.7%)은 이식 후 5년 내에 새로운 암이 발병했다. 관찰 대상자 모두 심장이식 수술을 받기 전 암 진단을 받은 적은 없었다.

암은 흡연이나 방사선, 자외선 등 암 위험 인자에 꾸준히 노출된 뒤 대개 10∼20년이 지난 이후 발생한다. 이처럼 짧은 기간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암 종류별로는 피부암이 7.0%(1238명)로 가장 많았고, 전립샘암(224명), 폐암(171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약 1%인 158명은 심장이식 후 5년 안에 혈액암에 해당하는 림프증식성 질환이 발병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암은 생존율이 대개 90% 이상이지만, 심장이식 환자에게서 발병한 피부암의 5년 생존율은 50% 이하로 현저히 낮았다.

연구팀은 “심장이식 환자들은 장기간 면역억제제를 사용해 감염이나 신장기능 장애 등 여러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며 “이 때문에 각종 암이 발병할 위험성이 다른 사람보다 높고, 사망 위험도 커진다”고 말했다.

윤종찬 교수는 “심장이식 후에도 암 검진을 꾸준히 받고, 몸에 이상 징후가 있으면 의료진과 상의하는 등 적극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하다”며 “이것이 이번 연구의 중요한 메시지”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순환기 분야 최고 권위지인 ‘미국심장학회지’ 1월호에 게재됐다. 저자들은 전 세계 심장이식 환자의 구체적인 암 발생 시기와 종류를 처음으로 밝힌 공로를 인정받아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서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로 선정했다.

추인영 기자 chu.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