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비즈 칼럼] 일자리 창출, 산학연 협력에서 답을 찾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9면

김성우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상임이사

김성우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상임이사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일자리를 얼마나 위협하는가’라는 질문보다 이제는 ‘기술이 미래 일자리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라고 질문을 바꿔야 할 때가 됐다.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는 2020년 인공지능(AI)이 180만개의 일자리를 없애지만 23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AI, 블록체인, 빅데이터, 클라우드, 차세대 모바일, 3D 프린팅 등 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산업의 출현이 이제까지 없었던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술을 활용해 사업을 하고 일자리를 만드는 주체는 바로 기업이다. 따라서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미래변화에 대응하고 필요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기업의 기술 경쟁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기술혁신이 가속화되고 신기술, 신제품의 수명이 점차 짧아지면서 연구·개발(R&D)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개발비용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산업·기술 간 융합이 중요해 지고 있어 기업이 단독으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는 산학연 협력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대학과 출연연의 한해 R&D예산은 15조원에 이르고 기술 29만3000 건, 연구인력 13만 9000명, 연구 장비 5만9000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공공부문의 연구개발 역량이 기업과 협력을 통해 기술창업, 신사업 창출, 제품 고도화로 이어진다면 과학기술 기반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이다.

하지만 우리 기업들의 R&D 협력 개방성은 낮은 것이 현실이다. 세계경제포럼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의 산학 연구협력 정도는 26위로 총 연구개발비 5위에 비해 낮다. 실제로 기업의 R&D 중 대학 사용비중은 2000년 2.4%에서 2015년 1.5%로 축소됐다. 2015년 국내에서 지식재산을 도입한 중소기업은 10.7%에 불과하고 산학 간 지식전달 정도는 세계주요 경제국 63개국 중 32위로 낮다.

이제 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한 산학연 협력의 새로운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첫째, 수요 지향적 산학연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수요자인 기업의 의견수렴 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계 수요를 R&D에서 사업화에 이르는 혁신체계 전반에 우선 반영하는 등의 수요자 중심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 둘째,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에 따른 지원전략이 필요하다. 기업의 기술 수준, 연구인력 현황, 연구 장비 등 내재적 기술혁신 역량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 셋째, 수평적·개방적 혁신 생태계가 조성되어야 한다. 통합정보망 구축, 인력교류 확대,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화와 더불어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력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열린 산학연 협력을 일자리 창출의 기회로 만들어야 할 때다.

김성우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상임이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