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우디·이란, IS 몰락 후 중동 주도권 경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중동의 두 맹주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간의 갈등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이슬람국가(IS) 몰락 이후 인접 국가에 대한 주도권 싸움이 군사적 긴장으로 이어지는 분위기다.

트럼프 등에 업은 사우디, 이란 겨냥 #“헤즈볼라 미사일 발사는 전쟁행위” #레바논이 양국 대리전장 될 가능성

지난 3일 밤부터 사우디 안팎에서 흘러나온 긴급 뉴스들은 ‘수니와 시아의 분열이라는 중동의 큰 게임’(월스트리트저널)의 틀에서 이해될 수 있다.

◆사우디 “미사일 배후는 이란”=6일(현지시간) 사우디의 아델 알주바이르 외교장관은 CNN에 지난 4일 밤 리야드 인근에서 격추된 미사일의 배후로 이란을 공개 지목하고 나섰다. 알주바이르 장관은 문제의 미사일이 “예멘의 후티 반군이 장악한 영토에서 헤즈볼라가 발사한 이란 미사일이었다”면서 “이것은 전쟁행위”라고 주장했다. 헤즈볼라는 이란의 지원을 받는 레바논의 무장단체다.

앞서 4일 밤 사우디 군은 예멘 후티 반군이 쏜 탄도미사일을 수도 리야드 부근에서 요격했다고 발표했다. 알주바이르 장관은 자위권을 국가의 ‘고유 권리’로 인정하는 유엔 헌장 51조를 인용하면서 “우리는 적절한 기회에 적절한 방식으로 대응할 권리가 있다”고도 했다. 단 적절한 방식이 무엇인지, 군사적 대응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친사우디파 레바논 총리 사임=사우디가 이란과의 대결에서 레바논을 지렛대로 활용하려는 조짐은 지난 3일 전면화됐다. 이날 사드 하리리 레바논 총리는 리야드 방문 중 이란 및 헤즈볼라의 ‘암살 음모’를 감지했다면서 전격 사임을 발표했다. 하지만 헤즈볼라의 하산 나스랄라 사무총장은 5일 “사우디가 지시하고 강제로 시킨 것”이라며 음모론을 제기했다.

사우디가 하리리를 감금하고 있다는 억측도 돌았다. 이에 사우디 언론은 6일 하리리 총리가 평소와 다름없는 모습으로 살만 국왕을 만나는 모습을 전함으로써 ‘인질 루머’를 잠재웠다.

하리리의 사임 배경이 무엇이든 사우디는 ‘레바논=헤즈볼라’라는 공식으로 압박을 더해갈 것으로 보인다. 이미 사우디·이란의 대리전 양상이 된 예멘·시리아 사태에 이어 레바논이 또 다른 각축장이 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사우디 인접 국가 바레인은 레바논 내에 거주하는 자국민들에게 “즉시 레바논을 떠날 것”을 명령하는 한편 레바논에 대한 여행금지령도 내렸다.

무함마드 빈살만 알사우드 사우디 왕세자 겸 국방장관 [중앙포토]

무함마드 빈살만 알사우드 사우디 왕세자 겸 국방장관 [중앙포토]

◆IS 패퇴 이후 다툼 고조=알주바이르 장관의 강경 발언은 전날 대이란 강경파인 무함마드 빈살만 알사우드(MbS·사진) 왕세자가 반대파 왕족을 숙청했다는 소식에 이어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지역 패권을 둘러싼 사우디·이란의 오랜 냉전이 새로운 공세를 예고하는 국면”이라고 썼다. 사우디와 알사우드 왕세자의 거침없는 행보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와 새 중동 전략에 힘입은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친사우디·반이란’이라는 미국의 전통 외교 노선으로 복귀했다. 그는 아시아 순방 도중인 7일에도 트위터에 “나는 사우디의 살만 왕과 왕세자에게 큰 믿음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편 중동의 지정학적 불안 소식이 국제 유가를 강타해 2년 5개월 새 최고치를 기록했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