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번 주 경제 용어] 매파와 비둘기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9면

통화정책과 관련된 경제 기사를 보면 자주 눈에 띄는 단어가 두 개 있습니다. ‘매파’(the hawks)와 ‘비둘기파’(the doves)입니다.

금리 올려 긴축하자는 매파 #돈 풀어 경기 살리자는 비둘기파 #한은 금통위원 비둘기파가 다수

보통 매파는 경기가 과열 조짐을 보일 때 기준금리를 인상해서 시중에 퍼져 있는 통화를 거둬들이고 물가를 안정시키자는 ‘긴축파’를 뜻합니다. 반대로 비둘기파는 경기를 부양할 목적으로 기준금리를 내려 시중에 돈을 풀자는 ‘완화파’와 통합니다. 많이 사용되진 않지만, 매파도 비둘기파도 아닌 중립적 입장을 가진 쪽을 ‘올빼미파’라고 칭하기도 합니다.

한국은행을 예로 들어볼까요. 한국은행에선 총재를 포함한 7명의 금융통화위원이 통화정책 결정에 관여합니다. 이들은 의사록을 비롯한 대외 발언 혹은 과거 소속 기관 등에 따라 매파 혹은 비둘기파로 분류됩니다. 실제로 일본계 증권사 노무라증권은 과거 의사록 발언을 바탕으로 7명을 분류했는데요.

매파(이주열 총재·윤면식 부총재)가 2명, 비둘기파(조동철·고승범·신인석 위원)는 3명, 중립(함준호·이일형 위원)은 2명이었습니다. 늘 그런 것은 아니지만, 금융통화위원의 성향은 미래 금리 방향을 예측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사실 이런 분석은 미국에서 더 자주 등장합니다. 이 용어가 처음 사용된 곳이 미국이었으니까요. 두 단어가 언제 처음 사용됐는지에 대해선 통일된 기록이 없습니다. 다만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베트남 전쟁 때라고 합니다. 통화정책보단 외교정책에서 먼저 사용됐습니다. 전쟁 당시 확전을 주장하는 강경파를 매에, 한정된 범위로 전쟁을 치르자는 온건파를 비둘기에 비유한 것이 지금까지 온 겁니다.

그러나 한번 매파가 영원한 매파는 아닙니다. 대외 변수에 따라 성향이 바뀌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미국 경제가 호황을 누린 1990년대(당시 Fed 이사) 매파로 분류됐지만 의장을 맡고부터인 2014년부턴 비둘기파로 분류됐습니다. 또 분류의 기준은 주관적인 경우도 있기 때문에 맹신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이새누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