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국이 전쟁 말할 때 한국은 몸서리친다" 작가 한강 NYT 기고문 미국서 화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소설가 한강. 박종근 기자.

소설가 한강. 박종근 기자.

한국에서는 추석 연휴인 기간, 미국 뉴욕타임스에 실린 맨부커상 수상 작가 한강(47)의 기고문이 미국인들 사이에서 잔잔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한강은 '미국이 전쟁을 언급할 때 한국은 몸서리친다"는 제목의 기고문으로 미국이 전쟁 시나리오를 들먹이는 것이 한국인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보자는 게 글의 요지다. 기고문은 7일(현지시간) 실렸다.

한강은 최근 북미 갈등으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면서 한 노인에게 벌어진 헤프닝을 소개하면서 글을 시작했다. 전쟁에 대한 우려 때문에 은행에서 돈뭉치를 찾아오다가 절도 피해를 본 노인의 사건 이야기다.

한강은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난 이후부터 전쟁은 그 노인이 청소년기에 줄곧 겪어온 체험이었을 것"이라며 "평범한 중산층으로서 살아온 그가 돈을 찾기 위해 은행으로 가는 길에 어떤 느낌이 들었을지 상상이 된다"고 적었다.

한국전쟁을 겪은 노인에게 '전쟁의 공포'는 젊은이들과 달리 실제적인 것이다. 하지만 한강을 비롯, 전쟁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젊은이들에게 북한이란 복잡미묘한 존재다.

한강은 "나는 그 노인과 달리 한국전쟁을 겪지 않았다"며 "전후 세대들에게 북한이라고 알려진 나라는 때로 모종의 비현실적인 존재로 느껴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물론 남한 사람들은 평양이 서울에서 자동차로 2시간 거리이며 전쟁이 끝나지 않았고 휴전 중이라는 것을 안다"며 한국인들에게 북한이란 일상에서는 비현실적인 존재이면서도 현실적으로 위협을 가하는 복잡한 존재임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강은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고 있음에도 태연한 듯 일상을 살아가는 이런 한국인들을 향한 외신들의 시선에 대해서도 물음을 던졌다. 그는 "이런 고요함이 한국인들이 정말 무관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일까. 모두가 전쟁의 공포를 진실로 초월해냈을 것 같으냐"고 질문했다. 그리고 '절대 그렇지 않다'는 말을 이어갔다.

한강은 "수십 년간 쌓인 긴장과 전율이 한국인들의 깊숙한 내면에 숨어 단조로운 대화 속에서도 갑자기 불쑥불쑥 모습을 드러낸다"며 "특히 매일 나오는 뉴스에 따라 최근 몇 달 동안 이런 긴장이 우리의 초조한 내면에서 서서히 고조되는 걸 목격했다"고 덧붙였다.

사례로는 자택이나 직장에서 가까운 방공호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명절 선물로 전쟁을 대비한 '서바이벌 배낭'을 준비하는 등 최근 한국 풍경을 소개했다.

한강은 "우리는 바로 국경 너머에 있는 북한이 또 핵실험을 할까, 방사능이 누출될까 무섭다"며 "우리는 서서히 고조되는 말싸움이 실제 전쟁으로 번질까 두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반도 남쪽에 5천만명이 살고 그 가운데 70만명이 유치원생들이라는 게 단순히 숫자가 아니라는 사실이 그런 두려움의 이유"라고 강조했다.

[사진 뉴욕타임스 홈페이지]

[사진 뉴욕타임스 홈페이지]

이처럼 두려움을 안고 사는 한국인들이 짐짓 평온한 모습을 견지하는 이유는 북한이라는 존재를 세계 다른 지역들보다 더 구체적으로 안다는 데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독재정권의 억압을 겪은) 우리가 독재정권과 그 아래서 고통받는 이들을 자연스럽게 구분하기 때문에 선과 악의 양분법을 넘어 전체적인 시각을 갖고 환경에 대응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누구의 이익을 위해 전쟁을 하는가?"라는 물음과 인식이 한국인들 사이에서 존재한다는 것을 알렸다. 한강은 한국전쟁이 이웃 강대국들이 저지른 대리전이었다며 70년이 지난 지금도 비슷한 위협이 미국 뉴스에서 들려온다고 지적했다. "여러 시나리오가 있다." "우리가 이길 것이다."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나면 남한 사람들이 매일 2만명씩 죽는다." "전쟁이 미국이 아닌 한반도에서 일어나니까 걱정하지 말라." 최근 전해진 자극적 뉴스를 토막토막 소개했다.

한강은 "한국은 하나만 안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말에 한국인들이 뚜렷하게 아는 게 한 가지가 있다고 맞받았다. 그는 "우리는 평화가 아닌 어떤 해결책도 의미가 없고, 승리는 공허하고 터무니없으며 불가능한 구호일 뿐이라는 걸 안다"며 "또 다른 대리전을 절대로 원하지 않는 사람들이 지금, 여기 한반도에 살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반도 긴장 상황에서 겉으로는 평온함을 유지하지만, '전쟁'이란 단어에 조용히 몸서리치는 한국인들의 심정을 대변한 한강의 글은 미국인들의 SNS에 공유되며 다양한 논의를 이끌어내고 있다. 공감하는 반응도 있고, 한국인들이 알아서 할 일이라는 식의 반응도 있다. 한국이 추석 연휴를 보내는 동안 미국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돌출 발언과 그에 따라 커져가는 한반도 긴장 상황 속에 있었다. 그런 가운데 미국인들은 한강의 NYT 기고문을 통해 한국인들의 심정을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는 창을 얻었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