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톡방 ‘즐거운 한가위 되세요’도 누군가에겐 스트레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명절에 말 한마디가, 가벼운 행동 하나가 가족 갈등을 야기할 때가 많다. 명절 전후 정신과 진료실을 찾거나 심지어 목숨을 끊는 경우도 있다. 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2년 하루 평균 자살자는 38.7명이지만 명절 직후에는 41.5명이었다. 지난해 하루 평균 298건이던 이혼 신청이 설·추석 전후 평균 577건으로 증가했다(금태섭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자료). 올해는 연휴가 유난히 길어 가족 갈등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정신과 의사의 ‘화목한 명절’ 비결 #“직장은 구했니” 대신 “잘 지내니” #‘너네 집’‘당신네 가족’ 표현 자제

백종우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이동우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 도움을 받아 ‘명절에 스트레스 덜 주고 덜 받는 10가지 팁’을 정리했다.

1. 역할 분담하기=명절은 여성에게 매우 ‘폭력적’이다. 제사 음식 준비부터 삼시세끼까지 도맡는다. 명절 노동이 여성에게 몰리면 갈등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남성이 분담해야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2. 섣부른 충고 피하기=내 입장에선 ‘피가 되고 살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상대방한테는 독이 되는 충고가 적지 않다. 예의 없는 행동을 했을 때 그것만 지적해야지 “너는 애가 왜 그러냐. 밖에 가서 그러면 욕먹는다”는 식으로 확대해 정체성까지 공격해서는 곤란하다.

3. 개방형으로 질문하기=“직장은 구했니” “대학은 잘 갔니”처럼 직설적인 질문은 상처를 준다. “요즘 잘 지내니”같이 열린 질문을 해서 답의 범위를 넓게 해야 한다. 상대가 원하는 이야기로 대화를 시작하자.

4. 집안 비교하지 않기=친족끼리보다 집안 싸움으로 번지면 문제가 커진다. 부부가 상대 집안을 두고 ‘너네 집’ ‘당신네 가족’으로 표현하는 순간 선을 넘게 된다.

5. 단톡방 추석 인사 피하기=‘즐거운 한가위 되세요’. 별 의미 없어 보이지만 누군가에겐 스트레스가 된다. 회사 상급자가 단체 카톡방에서 후배들에게 섣불리 명절 인사를 건네지 말자. 소통을 위해서라지만 후배에겐 짐이 될 수 있다. 그래도 꼭 해야 한다면 되도록 밤은 피하는 게 좋다.

6. 과도한 수면은 피하기=한번에 몰아서 자면 효율을 떨어뜨리고 장기적으로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다. 하루 6~8시간 규칙적으로 자는 게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된다.

7. 과음하지 않기=오랜만에 친척이 모이면 해묵은 갈등이 생기거나 상대적 박탈감 때문에 스트레스지수가 높아진다. 그렇다고 술을 과하게 마시면 자제력을 잃고 감정이 폭발하기 쉽다.

8. 긍정적인 대화하기=걱정과 지적보다는 칭찬 위주의 대화를 하자. 상대방이 불편을 느낄 주제라면 상대가 먼저 말하기 전에 꺼내지 말자.

9. 함께하지 못하는 가족에게 전화하기=소방대원, 응급의료진, 쪽방촌 주민, 취업준비생 등 명절에도 못 쉬는 사람이 주변에 많다. 전화·문자·카톡으로 안부를 전한다.

10. 돌아보는 시간 갖기=친척과 함께 있어서 말 못했거나 서운했던 점, 좋았던 점을 털어놓고 대화한다. 터놓고 공감하지 않으면 감정이 쌓여 내년 설날까지 갈등이 잠복하게 된다.

백수진 기자 peck.soo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