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보는 지진 발생시 행동요령 미리 꼭 확인하세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해 9월 12일 발생한 경북 경주지진 당시 행동요령 부족과 잘못된 대피 방법으로 시민들이 부상을 당하기도 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지진에 대한 안전의식을 높이기 위한 훈련과 홍보행사가 전국적으로 열린다.

지난해 9월 12일 5.8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후경북 경주시 황남동의 전경모습. 곳곳에 무너진 지붕을 천막으로 가려놓은 곳과 첨성대가 한눈에 들어온다. [중앙포토]

지난해 9월 12일 5.8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후경북 경주시 황남동의 전경모습. 곳곳에 무너진 지붕을 천막으로 가려놓은 곳과 첨성대가 한눈에 들어온다. [중앙포토]

행정안전부는 11~15일을 ‘지진 안전주간’으로 정하고 대피훈련과 함께 주요 공공장소에서 지진 행동요령을 집중적으로 홍보한다고 10일 발표했다. 이 기간 전국 주요 도시에서 160여 개 기관이 지진 행동요령과 점검표 등을 담은 홍보물을 배포할 예정이다.

지진 행동요령

지진 행동요령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12일 광화문 인근에서 직접 국민에게 지진 행동요령을 안내하고 의견을 듣기로 했다. 온라인에서는 지진 행동요령 퀴즈를 풀거나 홍보영상을 공유하면 추첨을 통해 경품을 제공하는 행사도 진행한다.

지난해 12월12일 대구 시민안전테마파크 지진체험장을 찾은 경북 구미시 남구미어린이집 원아들이 규모 5.0의 지진상황이 시작되자 황급히 책상 아래로 대피하고 있다. [중앙포토]

지난해 12월12일 대구 시민안전테마파크 지진체험장을 찾은 경북 구미시 남구미어린이집 원아들이 규모 5.0의 지진상황이 시작되자 황급히 책상 아래로 대피하고 있다. [중앙포토]

안전주간 부산·울산·경북 등 전국 150여 개 기관에서 지진 대피훈련을 한다. 훈련에서는 지역 주민들에게 대피요령과 주변 대피장소를 알리게 된다. 교육부와 각 시·도 교육청은 초·중·고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진 행동요령 등을 교육할 계획이다.

행안부, 경주 지진 1주년 맞춰 지진안전주간 훈련·홍보 #11~15일 전국에서 … 초·중·고 행동요령 집중 교육 #150개 기관 지진 대피훈련, 대피요령 및 주변 대피장소 사전확인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최적의 지진 대피정보 제공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12~14일 시민과 함께하는 ‘지진대피소 대피실험’을 진행한다.실험에서는 시민에게 서로 다른 대피정보를 제공한 후 대피 완료 시간, 대피정보 인지 정도 등을 종합 분석해 최상의 대피정보 제공 방법을 마련하기로 했다. 대피실험에는 울산지역 자율방재단과 안전지킴이봉사단을 포함한 주민 140여 명이 참가한다.

지난해 10월 19일서울시 강동구 고덕동 3단지 재건축단지 내에서 민방위의 날 지진대피훈련이 실시됐다. [중앙포토]

지난해 10월 19일서울시 강동구 고덕동 3단지 재건축단지 내에서 민방위의 날 지진대피훈련이 실시됐다. [중앙포토]

행안부는 안전주간을 전후로 영화관·공항 등 주요 공공장소에서 지진 안전영상을 상영해 국민이 어디서든 지진 행동요령을 익힐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지진 국민 행동 요령은 ^집 안에 있을 경우 탁자 아래로 들어가 몸을 보호한다 ^학교에 있을 경우는 책상 아래로 들어가 책상다리를 꼭 잡는다 ^극장 등에 있을 경우는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가방 등으로 몸을 보호하고 침착하게 대피한다 ^건물 밖으로 나올 때는 계단을 이용해 신속하게 이동한다 ^산이나 바다에 있을 경우는 붕괴에 주의하고 지진해일특보가 발령되면 높은 곳으로 이동한다 등을 안내하고 있다.

지진 행동요령

지진 행동요령

정종제 행정안전부 재난관리실장은 “지난해 9·12 지진은 지진대비의 중요성을 일깨워준 계기였다”며 “지진발생 때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사전에 지진행동 요령을 숙지해달라”고 당부했다.

세종=신진호 기자 shin.jin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