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최민우의 블랙코드

‘협치’ 같은 소리 하고 있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2면

최민우 기자 중앙일보 정치부장
최민우 정치부 차장

최민우 정치부 차장

우리에겐 역시 달달한 브로맨스란 어색했던 모양이다. 여의도 정치 얘기다. 지난달 19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5당 원내대표단과 함께 밥 먹고, 선물 주고받을 때만 해도 ‘진짜 협치 하는 거야?’ 싶었다. 하지만 본색이 드러나는 데엔 한 달도 걸리지 않았다. 급기야 20일 국회 운영위에선 삿대질과 고성, 반말 등이 오갔다. “이제야 국회답다”란 냉소가 나왔다. ‘막장 드라마’도 욕하면서 본다는데, 역시 국회란 무릇 해머·최루탄·욕설 등 3종 세트가 출몰하는 ‘액션 누아르’라야 흥행이 되는 법. 근데 22일엔 또 다른 생뚱맞은 풍경이 연출됐다. 이날 오전 국회 정상화 합의가 결렬되자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는 느닷없이 눈물을 보였다. 이 신형 장르는 어떻게 설명해야 하나. 최루성 순애보? 분노의 복수극?

한국 정치에서 협치(協治)가 잘 안 되는 이유로 전문가들은 몇 가지를 꼽는다. 우선 제왕적 대통령제의 한계다. 즉 ‘견제와 균형’을 원리로 하는 대통령제에 ‘연정과 협치’라는 내각제 요소를 입히는 게 구조적으로 무리라는 지적이다. 타협은 굴복이라 여기고, 물밑 협상은 뒷거래로 간주하는 사회 인식도 협치의 걸림돌이다. 구체적 액션플랜은 없이 무작정 구호만 외치는, 선명성을 강요하는 풍토에서 머리 싸매고 이견을 좁혀가기란 요원하다. 다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진단이다. 하지만 근본적인 게 있으니, 바로 ‘나만 옳다’는 선민사상이야말로 협치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내 편은 언제나 옳기에 “임신한 선생님은 섹시했다”는 요상한 성(性) 인식을 가진 사람도 계속 감쌀 수 있는 것이다. 우리는 ‘합리적 보수’라고 철석같이 믿기에 ‘추경 논의’라는 문구 하나를 받아들이지 않고 똥고집을 피우는 거다. 혹자는 ‘나만 옳다’는 자기 확신 없이 어찌 이 험한 세상을 버텨낼 수 있느냐고 할지 모른다. 그렇다면 눈 가리고 아웅 하는, ‘협치’라는 말은 아예 꺼내지도 말았어야 했다.

여권에선 이번 내각 인선에 국민의당·바른정당 관련 인사를 포함시키지 않은 걸 아쉬운 대목으로 꼽는다. 자유한국당은 차치해도, 다른 두 야당을 일정 정도 포섭했다면 지금처럼 국회가 삐꺽거리진 않았을 것이란 소회다. 하지만 청와대는 이토록 개혁적인 정부에 감히 ‘사쿠라’들을 함부로 집어넣을 수 있느냐고 생각한 건 아니었을까. 겉으로 포용을 말하지만 “나는 정의요, 너는 불의”라는 ‘내로남불’의 이분법으로만 무장돼 있다면, ‘협치’란 그저 위선에 불과할지 모른다.

최민우 정치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