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ㆍ15 남측위, 문재인 정부에 “제재와 교류 연계한 것 납득 어려워”

중앙일보

입력

6ㆍ15 공동선언 실천 남측위원회(남측위)는 “대북 제재와 민간 교류를 굳이 연계한 정부의 입장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과감한 남북관계 복원을 정부에 촉구했다. 15일 남측위가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6ㆍ15 공동선언 발표 17주년 기념식’에서다.

6ㆍ15 공동선언 17주년 기념식 열려 #개성공단 재가동 촉구, 남북간 대화채널 복원 주장 나와

이창복 남측위 상임대표의장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민간교류를 허용하겠다는 정부의 입장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정부는 어떤 국제적 환경에도 흔들림 없이 남북관계 복원에 과감히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 의장은 “지난 정부 10년 간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는 불신과 적대의 결과”라며 “오늘 공동선언 17주년 행사는 남과 북, 해외에서 분산 개최됐지만 오는 8월 15일엔 민족의 만남을 성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남측위는 지난달 31일 통일부에 대북접촉 승인을 받고 북측과 6ㆍ15 공동행사를 추진했다. 남측위는 북측으 평양 개최 주장을 수용했지만 북측은 지난 5일 이후 아무런 입장을 내놓지 않아 공동행사가 무산됐다.

이날 남측위가 개최한 행사에선 남북간 대화채널의 복원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쏟아졌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념연설에서 “당분간 정부는 (남북간) 대화채널 복원에 전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며 “대화채널이 끊긴 상태에선 (남북교류 등) 사업을 할 수는 없는 노릇이고, 개인적인 예상으로는 이달말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이 끝나면 남북간 대화채널이 복원되지 않을까 싶다”라고 말했다.

또 신한용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장은 개성공단의 재가동을 촉구하면서 “6ㆍ15 공동선언이 낳은 결과물이 개성공단이라는 점은 누구도 부정하지 못할 것”이라며 “대북제재의 틀을 훼손하지 않겠다며 (남북관계 개선을 추구하는) 정부의 소극적인 정책은 마치 브레이크를 밟은 채 엑셀레이터를 밟는 것과 같다”고 비판했다.

김록환 기자 rokan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