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6ㆍ15남측위 대북 접촉 승인…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두번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통일부가 31일 저녁 6·15 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남측위)의 대북 접촉 신청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민간단체의 대북 접촉 신청이 승인된 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두번째다.

앞서 남측위는 지난달 23일 북측과 6ㆍ15 공동선언 17주년 행사 개최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통일부에 대북 접촉 신청을 했다. 정부는 지난달 26일에도 대북 민간지원단체인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북한 주민 접촉 신청을 승인한 바 있다.

이는 6ㆍ15 행사까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남측위의 대북 접촉 신청 승인이 늦어질 경우 행사 논의에 무리가 따를 수 있다는 정부의 검토 결과가 반영된 것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승인 여부를 늦춰 행사 자체를 방해할 의도가 없고, 정부에서도 충분한 검토를 거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해 (승인을)결정한 것"이라며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남북 민간교류를 유연하게 검토하겠다는 정책기조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남측위는 북한을 직접 방문하는 대신 팩스나 제3국에서의 북한 주민 접촉 등의 방식으로 6ㆍ15 남북 공동행사 진행을 북측과 협의할 수 있게 됐다.

김대중 정부 시절 열린 제1차 남북정상회담 공동선언을 기념하기 위한 6ㆍ15 남북 공동행사는 이명박 정부 출범 첫해인 지난 2008년 이후 9년째 개최되지 않고 있다.

한편, 이날 북한은 관영 매체를 통해 6ㆍ15 공동선언을 언급하며 한국 정부에 남북관계 개선에 나설 것을 주장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은 “6ㆍ15 공동선언 발표 이후 불신과 대결의 북남관계는 민족적 화해와 단합의 관계로 확고히 전환됐다”며 “남조선(한국)이 오늘과 같은 극심한 위기와 난국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타개책은 북남관계 개선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김록환 기자 rokan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