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로봇의 진화 축복일까 저주일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스폿, 나 목마르다. 탄산음료 줘.”

2017 TED에서 보스턴 다이내믹스 대표 마크 라이버트에게 음료수 캔을 건네는 스폿미니 [사진 TED]

2017 TED에서 보스턴 다이내믹스 대표 마크 라이버트에게 음료수 캔을 건네는 스폿미니 [사진 TED]

25일 오전(현지시간) 캐나다 밴쿠버 컨벤션 센터 대극장.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대표 마크 라이버트의 말이 떨어지자 스폿(SpotMini)은 종종거리며 음료수가 있는 탁자로 향했다.스폿은 다리 넷에 목처럼 보이는 긴 팔이 달린 로봇이다. 팔 끝엔 센서와 카메라가 있어 눈 역할을 한다. 스폿은 캔을 정확히 집어 한 치의 흔들림 없이 라이버트의 손에 쥐여주었다. 하는 행동이 거대한 애완견 같아 청중은 웃음을 터뜨렸다.

정상급 전문가들 2017 TED에 모여 #AI 발전 낙관론과 위험성 따져보는 자리 #보스톤 다이내믹스 스폿 미니 눈길 #결국 "누가 쓰느냐의 문제"로 귀결

라이버트는 “내가 스폿을 조정한 게 아니라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내 명령에 반응한 것”이라고 소개했다.

스폿미니는 유연한 관절을 이용해 보폭을 자유자재로 조정하고 균형을 잡는 능력도 탁월하다. [사진 TED}

스폿미니는 유연한 관절을 이용해 보폭을 자유자재로 조정하고 균형을 잡는 능력도 탁월하다. [사진 TED}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이건 인간에게 축복일까 저주일까. ‘미래의 당신(The Future You)’을 주제로 진행되는 2017년 TED 2일 차엔 내로라하는 로봇·AI 전문가와 미래학자들이 다 모였다. 일명 ‘로봇의 지배자들’ 세션에서다. 이들은 자신이 내다보는 로봇과 인간의 미래에 관해 이야기 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동물의 해부학적 구조를 본떠 만든 스폿 시리즈와 3세대 휴머노이드(인간을 닮은 로봇) '아틀라스' 등을 제작한 회사다. 계단이나 비탈길에서 균형을 잡으면 이동하는 로봇 영상으로 유명하다. 3D 프린팅 기술이 좋아지면서 로봇 부속이 정교해졌고, 살아있는 동물의 유연한 움직임을 재현해 안정감이 뛰어나다.

라이버트는 “인간은 곧 이런 로봇의 도움을 받게 될 것”이라며 “늦어도 우리 자녀 세대가 우리를 돌볼 때쯤이면 가정마다 스폿 같은 로봇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의 말대로 이 회사의 휴머노이드는 이미 컨베이어 벨트 작업에서 인간보다 3배 빠른 속도로 작업한다. 45kg 상당의 짐도 가뿐히 든다. 로봇이 인간 일자리의 상당수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아마존은 드론 배달을 시도하지만,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말처럼 등짐을 지고 다니는 택배 로봇을 구상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배송업체인 UPS와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

TED의 헬렌 월터스가 “군용으로도 쓰이나”라며 무기화 가능성을 묻자 라이버트는 정확한 대답을 피했다. 대신 “군사용이 꼭 어두운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며 “로봇을 무서워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스튜어트 러셀 교수는 이세돌 9단이 AI에게 패한 사건 언급으로 강연을 시작했다.[사진 TED]

스튜어트 러셀 교수는 이세돌 9단이 AI에게 패한 사건 언급으로 강연을 시작했다.[사진 TED]

노동의 대체, 로봇의 무기화보다 더 고민되는 문제는 인간보다 높은 ‘지능’을 지닌 새로운 종(種)의 탄생을 과연 반겨야 할지다.

세계 여러 대학에서 AI 연구 기본서로 쓰이는 「AI: 현대적 접근」 의 저자 스튜어트 러셀 UC 버클리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이세돌 9단의 사진을 보여주면서 강연을 시작했다. 러셀은 고릴라들의 사진을 보여주며 “이들이 지능이 높은 종, 인간에게 빼앗긴 자리를 생각해 보자”며 “고릴라의 눈에서 존재론적 고민을 읽을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가 고릴라와 같은 처지에 놓일 수도 있다는 걸 암시한 것이다.

물론 러셀은 당장 큰일이 생길 것이라고 믿는 로봇 회의론자는 아니다. 다만 그는 “AI가 인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인간과 공존 가능한 AI (Human-Compatible AI)’를 만들어야 한다”며 ▶로봇의 유일한 목표는 인간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 ▶로봇은 초기엔 이 가치가 무엇인지 몰라야 한다는 것 ▶인간의 행동에 따라 그 가치가 결정된다는 내용의 새로운 '로봇 3원칙'을 제시했다. 이런 원칙을 세우면 적어도 로봇이 인간에 반기를 드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애플 톰 그루버 [사진 TED]

애플 톰 그루버 [사진 TED]

애플의 AI 시리를 공동 개발한 톰 그루버는 한층 낙관적인 미래를 꿈꿨다. 그는 “AI가 인간의 새로운 르네상스 시대를 열고 있다”고 말했다. AI의 목표는 인간의 능력을 증강하기 위해서인데, 사람들은 마치 초지능이 탄생할 것으로 착각한다는 것이다. 그루버는 “만약 AI가 인간이 기억해야 할 것을 모두 알려줄 수 있다면, 기억을 잃어 사회에서 소외되는 노인이나 환자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AI와 인간이 함께 할 때 슈퍼 인간이 탄생한다”는 게 그루버 주장의 핵심이다.

도쿄대 입학시험에 합격할 AI 만들기가 목표였던 ‘토다이 프로젝트’의 책임자인 일본 국립 정보화 연구소의 아라이 노리코(新井紀子)는 “결국은 인간의 문제”라는 절충안을 제시했다 아라이 박사 팀의 AI는 현재 일본 대학 중 60%에 합격할 수 있는 성적을 거뒀지만 목표인 도쿄대 갈 성적은 거두지 못했다. 수 많은 정보를 암기할 수 있지만 읽거나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애플 톰 그루버 [사진 TED]

애플 톰 그루버 [사진 TED]

아라이 박사는 인간에도 AI의 맹점이 적용되는지를 따져보았다. AI가 틀린 문제를 중학생들에게 풀게했더니 실험 대상자 중 3분의 2가 맞추지 못했다. 아라이 박사는 “AI 시대에 인간에겐 이해력을 높이는 교육이 필요한 만큼 교육에서 완전히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밴쿠버=전영선 기자 azu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