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고 나가는' 문재인…"진정한 통합은 '봉합'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본격 대선 행보를 시작했다.

문재인, 12일 기자회견 열고 대선 행보 #"진정한 통합은 봉합이 아니다" #'국민 대통합' 메시지 내세워

문 전 대표는 지난 10일 헌법재판소가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결정을 내린 직후인 12일 민주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12일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의 정국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문재인캠프]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12일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의 정국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문재인캠프]

문 전 대표는 이날 회견에서 “진정한 통합은 적폐를 덮고 가는 봉합이 아니다”라며 지금까지 강조해온 ‘적폐청산’의 메시지를 전면에 내세웠다. 탄핵 결정 직후 팽목항과 광주를 방문하며 기존 지지층에 대한 결집을 강화한 것과 유사한 맥락이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10일 오후 전남 진도 팽목항 세월호 분향소를 찾아 분향하고 있다. 2017.3.10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10일 오후 전남 진도 팽목항 세월호 분향소를 찾아 분향하고 있다. 2017.3.10

문 전 대표는 그러나 탄핵 결정 이후 국민 대통합을 강조했다. 그는 “새로운 나라로 가기 위한 국민적 열망, 정의롭고 상식적인 나라로 가기 위한 국민 모두의 소망 아래 하나가 돼야 한다”며 “적폐를 확실히 청산하면서 민주주의 틀 안에서 소수의견도 존중하고 포용하는, 원칙 있는 통합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우리는 상처와 분열과 갈등을 넘어서서 하나가 돼야 한다. 대한민국은 통합의 길로 가야 한다. 타도와 배척, 갈등과 편 가르기는 이제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11일 오전 전남 광주 북동성당에서 김희중 대주교 집전으로 거행된 미사에 참석하고 있다. 2017.3.11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11일 오전 전남 광주 북동성당에서 김희중 대주교 집전으로 거행된 미사에 참석하고 있다. 2017.3.11

헌재 결정에 대해 반대하는 일부 세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무엇보다 민주공화국 시민 모두는 민주적 헌법 절차에 승복해야 한다. 그것이 통합의 출발”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관용도 필요하다. 촛불을 들었던 절대다수 국민이 탄핵을 반대했던 분들의 상실감마저 어루만질 때, 대한민국이라는 이름과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사실은 더욱 자랑스러워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에 대해서는 “수사를 미룰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그러나 구속이냐 불구속이냐 하는 문제는 대선 주자들이 언급해 영향력을 미치는 것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박 전 대통령이 하루빨리 헌재 결정에 승복한다는 의사표명을 하는 것이 국민들에 대한 도리라고 생각한다”며 “관저 퇴거 문제는 이사갈 곳이 준비가 끝나지 않아 2~3일 늦어지고 있다니 그것까지 야박하게 할 수는 없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이어 “퇴거가 늦어지는 것보다 박 전 대통령이 퇴거할 때 국가기록물을 파기하거나 국가기록을 반출해 가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와 관련한 ‘모호성 전략’은 그대로 유지했다. 문 전 대표는 “사드 배치를 다음 정부로 넘겨야 한다고 여러번 말했다”며 “미리 사드에 반대한다거나, 이미 합의가 됐기 때문에 그대로 결정된대로 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히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다만 비준동의안에 대해선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사드 배치와 관련한 중국의 보복 조치에 대해선 “온당하지 못한 처라”라고 주장했다.

 그는 “군사외교문제와 경제문제는 분리되는 것”이라며 “중국이 군사외교 문제에 있어 양 정부간의 이견 때문에 기업과 국민에게 보복하고 위협을 가하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며 “지금 정부가 현실적으로 중국의 경제보복이 이뤄지는 시점까지 중국을 설득하려는 노력을 전혀 하고 있지 않은데, 중국이 (보복을) 확대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