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문턱 도이체방크 10조원 긴급 수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독일의 자존심’에서 부실은행 문턱까지 몰린 도이체방크가 대대적인 자금수혈에 나선다. 도이체방크는 오는 21일 증자를 통해 80억 유로(약 9조8000억원)의 자본을 확충하겠다고 5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달 유상증자로 자본 우선 확충 #지분 매각 포함 총 12조원 계획 #사업부문도 3개로 줄여 군살 제거

기존 주주들을 대상으로 지난 3일 종가인 19.14유로에서 39% 할인한 가격으로 총 6억8750만 주의 보통주를 발행하는 방식이다. 은행은 이번 증자를 통해 기본자본비율(티어1)을 현재 11.9%에서 2018년 말 12.5%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최종 목표는 14.1%다. 사업부문도 현재 4개에서 3개로 축소한다.

이에 따라 도이체방크는 개인·상업은행(CB) 부문, 기업·투자은행(IB) 부문, 자산운용부문 등 3개 부문으로 몸집이 줄어들게 된다.

이 중 자산운용부문은 지배지분을 제외한 보유지분을 2년 안에 처분해 20억 유로(약 2조5000억원)를 추가로 조달할 방침이다. 이번 자본확충은 2017년을 도이체방크 재기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존 크라이언(사진) 최고경영자(CEO)의 개혁안을 구체화한 것이다.

크라이언은 “증자를 통해 우리의 재무여건이 근본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사업부문을 축소해 보다 단순하고 강력하면서도 성장하는 은행으로 거듭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독일 최대 은행인 도이체방크는 부실 모기지담보부증권(MBS) 판매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불렀다는 낙인이 찍힌 뒤 사세가 급격히 기울었다.

수년간 누적된 경영난에 더해 지난해 미국 법무부로부터 무려 72억 달러(약 8조3000억원)의 벌금을 부과받은 것이 직격탄이었다. 이는 5일 기준 도이체방크 시가총액(뉴욕증시)의 30%에 육박하는 금액이다. 도이체방크는 2015년 65억 유로 적자에 이어 지난해에도 14억 유로의 손실을 기록했다.

앞서 은행은 독일에서만 4000개, 세계적으로 1만 개 일자리를 줄이는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통해 연간 31억 유로의 비용을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이소아 기자 lsa@joong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