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중소기업 취업 청년임금, 대기업 80% 수준으로 정부지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20일 “중소기업에 취업해도 대기업의 80% 정도 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그 차이를 메워주는 일을 한시적으로 3년 내지 5년 안에 정부가 해야 한다”고 말했다.

청년실업 문제 한시적 특단의 대책 필요

안 전 대표는 이날 서울 중랑구에 있는 한국건설기초안전보건교육장을 찾아 “청년들은 대기업과 비교해 보수가 너무 낮아 취업하기를 꺼린다. 그 부분을 정부에서 책임지고 보전해줘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청년 일자리 문제에 대해 “처음 졸업하고 3년 정도 내에 안정적인 일자리를 가지지 못하면, 평생 안정적인 일자리를 가지지 못하고 정착하지 못한다 ”며 “그것은 개인에게도 불행이지만 국가적으로도 향후 복지 비용이 엄청나게 필요하다는 점에서, 특단의 대책으로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국가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필요한 일이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이에 대한 해법으로 “중장기적 구조 개혁과 단기적인 처방 두 가지를 동시에 투트랙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나 정치가 직접 일자리 만들지 못해"

안 전 대표는 중장기적 방안으로는 “정부나 정치가 직접 일자리를 만들지 못하고, 만드는 것도 바람직하지도 않다”며 “오히려 민간과 기업에서 일자리를 만들 수 있도록 그 기반을 닦는 일을 정부에서 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 전 대표는 정부의 역할로 ^교육혁명 ^과학기술혁명 ^공정한 경쟁이 가능한 산업구조 등을 들었다.

단기적 방안으로는 교육훈련의 기회를 정부에서 책임지고 제공하는 일과 중소기업에 대한 임금 보전을 들었다. 안 전 대표는 임금보전에 대해서 “이미 정부에서 하는 정책 중 청년내일채용공제사업이 있다”며 “그 규모를 좀 더 확대하는 것으로 재원조달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안 전 대표는 21일 구체적인 일자리 공약을 발표할 계획이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