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추억] ‘개혁적 보수’ 주창한 박세일 전 의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박세일(사진) 전 국회의원(17대)이 13일 지병으로 69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이날 여권 관계자는 “위암을 앓고 있던 박 전 의원이 돌아가셨다”고 전했다. 박 전 의원은 김영삼 정부 시절 청와대 정책기획수석과 사회복지수석을 지냈다. 옛 한나라당에서는 정책위의장을 맡았다. 박 전 의원은 한나라당 내에서 소장 개혁파들의 대부로 불렸다. 고인은 개혁적 보수 이론가로 신망을 받는 학자이자 정치인이었다.

2005년 한나라 정책위의장 시절
박근혜 대표와 ‘수도 이전’ 갈등 탈당
한반도 통일, 교육개혁 열정 기울여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다 2004년 17대 총선을 앞두고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장을 맡았다. 17대 총선에선 고인 스스로 비례대표로 원내에 들어왔으며 초선임에도 정책위의장과 여의도연구소장 등 중책을 맡았다. 정책위의장 시절 수도 이전 문제로 당시 당 대표였던 박근혜 대통령과 갈등을 빚다 2005년 3월 탈당해 의원직을 사퇴하기도 했다. 2012년에는 국민생각을 창당해 대표를 맡고 19대 총선에 나섰지만 낙선했다.

고인은 한반도 통일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와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생전에 “한반도 통일은 과거로의 회귀가 아니라 새로운 나라를 창조하는 것이고, 통일비용은 우리에게 엄청난 이익이고 축복”이라며 “통일이 되지 않으면 남북한 모두 불행해질 뿐만 아니라 동북아 전체가 불행해진다”고 역설했다. 이런 철학을 바탕으로 통일준비위원회 민간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교육개혁 문제에도 열정적이었다. 한 심포지엄에선 ‘대통령 교육개혁위원회’ 도입을 제안하기도 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흔들리지 않는 교육개혁을 추진하자는 취지다.

서울대 법대 출신인 고인은 미국 코넬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선진통일전략』 『이 나라에 국혼은 있는가』 등의 저서를 남겼다. 1997년에는 황조근정훈장을 받았다. 빈소는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이다.

채윤경 기자 pch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