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삶과 추억] “한국인에 사죄해야” 일본 전후 대표 작가
199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일본 작가 오에 겐자부로가 별세했다. 사진은 2012년 3월 파리도서전 개막식 참석 당시 모습. [AP=연합뉴스] 199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일
-
[삶과 추억] K클래식 기반 다진 ‘바이올린 대모’
‘한국 바이올린의 대모’로 불리는 고 김남윤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가 생전에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모습. 고인은 한예종 설립 멤버로 300명이 넘는 후학을 양성했다. [중앙포토]
-
[삶과 추억] ‘향수’로 성악 대중화 앞장선 ‘국민 테너’
박인수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 이렇게 시작하는 가곡 ‘향수’를 1989년 가수 이동원(2021년 작고)과 함께 불러 국민적
-
“나라 이끌 인재 위해 써달라” 코로나 속 아름다운 기부 이어져
━ 고려대학교, 선진 기부문화 조성 노력에 지난 학년도 615억원 기부금 모여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와 코로나19 팬데믹 등 한국 사회가 급격한 변화를 맞은 가운데 교육
-
피 토하면서도 “아빤 잘 있어”…자식이 크자 삶을 접었다 유료 전문공개
아스팔트가 끓어오를 정도로 더위가 한창인 여름, 젊은 청년의 의뢰가 들어왔다. 고독사 현장에선 시체가 부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진동하기 때문에 창문을 열어 놓고 청소
-
[삶과 추억] 식민사관에 왜곡된 역사 바로잡다
한영우 서울대 명예교수 조선시대 연구로 한국사의 지평을 넓힌 원로 사학자 한영우(사진) 서울대 명예교수가 15일 오전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85세. 고인은 충남 서산
-
[삶과 추억] 제자만 1만명 ‘당대 제일의 주역가’
김석진옹 ‘당대 제일의 주역가’로 꼽히던 대산(大山) 김석진(사진)옹이 15일 분당제생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95세. 김옹은 1928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났다. 조부 김
-
[삶과 추억] 금기였던 월북 문인 연구에 물꼬 터
오탁번 전 한국시인협회장 월북 문인에 관한 논의가 금기시되던 시절, 문학사 최초로 시인 정지용에 대한 논문을 쓴 오탁번(사진) 시인이 별세했다. 80세. 15일 한국시인협회는
-
[삶과 추억] “토요타엔 전진뿐” 세계 판매 1위 초석 쌓고 떠나다
도요다 쇼이치로 일본 토요타자동차를 세계 굴지의 자동차회사로 키운 도요다 쇼이치로(사진) 명예회장이 14일 97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사인은 심부전이라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
브루흐·바버 협주곡 발매한 에스더 유, “페트렌코 유머 덕에 즐겁게 녹음했죠”
막스 브루흐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과 바버 바이올린 협주곡을 녹음한 새 음반을 발매한 바이올리니스트 에스더 유. 사진 마스트미디어 바이올리니스트 에스더 유(28)가 막스 브루
-
[삶과 추억] OB·삼성·빙그레 거치며 707승
빙그레 이글스 시절 김영덕 감독은 한국시리즈에 올랐다. [중앙포토] 한국 프로야구 원년 우승 사령탑인 김영덕 전 OB 베어스 감독이 21일 별세했다. 87세. 고령에도 틈틈이
-
[삶과 추억] “영화는 인생이다” 아흔까지 현역 꿈꾼 ‘은막 큰별’ 지다
김수용 감독의 1978년작 ‘화려한 외출’에서 열연중인 윤정희. [사진 영상자료원] “한 번도 영화를 떠난 적 없다. 영화는 인생이다.” 16년 만의 영화 복귀작 ‘시’(2010
-
[삶과 추억] ‘기타의 신’ 하늘나라 공연 떠나다
전설적인 기타리스트 제프 벡이 지난 10일(현지시간) 영국의 자택 근처 병원에서 78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벡은 늘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실험 정신의 소유자였다. [AP=연합뉴
-
중국인들 몰려나온다, 전 세계 방역 규제 확산…7문제 맞히면 국제뉴스 퀴즈왕
지난 5일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 중국발 입국자가 코로나19 검사 센터로 들어가고 있다. AP=연합뉴스 1월 첫째 주(12월 31일~1월 6일) 국제뉴스 브리핑입니다. 1월 8일
-
영면에 든 베네딕토16세, 프란치스코 교황이 장례미사 집전
생전에 교황직을 사임해 가톨릭의 새로운 역사를 썼던 '명예 교황' 베네딕토 16세 전 교황의 장례 미사가 5일(현지시간) 오전 9시30분(한국시간 오후5시30분) 이탈리아의 바티
-
인니에서도 날아왔다…베네딕토16세 전 교황 첫날 6만여명 조문
베네딕토 16세 전 교황의 시신이 선종한 지 이틀 만인 2일(현지시간) 오전 9시부터 대중에 처음 공개됐다. 세계 곳곳에서 조문객이 몰려 이날에만 6만 명 넘게 바티칸을 찾았다.
-
베네딕토 16세 전 교황 조문 시작…첫날 조문객 2만5000명 예상
2일(현지시간) 베네딕토 16세 전 교황의 시신이 안치된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을 찾은 일반 신자들이 조문하고 있다. 바티칸=연합뉴 지난달 31일(이하 현지시간) 선종한 베
-
[삶과 추억] 스스로 교황 물러난 가톨릭 수호자
지난달 31일 선종한 ‘명예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장례미사가 5일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집전으로 열린다. 사진은 2005년 4월 교황에 선출될 당시 모
-
[삶과 추억] 별이 된 축구 황제 펠레 “사랑하라, 영원히”
펠레가 2003년 10월 런던의 ‘펠레 컬렉션’ 전시회에 참가해 자신의 바이시클 킥 모습을 포착한 사진 앞에서 미소짓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축구황제’ 펠레(브라질)가 암
-
[삶과 추억] ‘학현학파’ 키운 진보 경제학의 거목
진보 경제학계 대부 고 변형윤 서울사회경제연구소 명예이사장의 생전 인터뷰 모습. [중앙포토] 대표적 원로 진보 경제학자인 변형윤(서울대 명예교수) 서울사회경제연구소 명예 이사장이
-
[삶과 추억] ‘난쏘공’으로 한국 노동문학에 큰 발자국
소설집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조세희 작가가 25일 80세로 별세했다. [중앙포토] 1970~80년대 대학가 필독서였던 노동문학 연작소설집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
‘영장실질심사’ 도입…사법개혁 디딤돌 놓은 전 대법원장 [윤관 1935~2022.11.14]
윤관 전 대법원장이 11월 14일 노환으로 영면에 들었다. 향년 87세. 윤 전 원장은 취임 첫해에 구성된 '사법제도발전위원회'를 주도했다. 사진 대법원 사법부 독립과 사법개혁의
-
박정희·오바마·고이즈미...그의 캐리커처가 한국 현대사였다 [박기정 1935~2022.10.18]
만화 『도전자』, 『폭탄아』 등을 그린 1세대 대표 만화가 박기정 화백이 18일 별세했다. 87세. 고 박기정 화백 만화계에 따르면 박 화백은 최근 폐암 진단을 받고 투병해오
-
나비넥타이 매고 “이게 뭡니까”...정치에 직언한 ‘보수 맏형’ [김동길 1928~2022.10.4]
보수 원로 김동길 연세대 명예교수가 4일 별세했다. 94세. 고 김동길 연세대 명예교수. 중앙포토 5일 유족에 따르면 숙환으로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 중이던 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