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집값 급속한 조정 없을 것”

중앙일보

입력

“집값의 급속한 조정은 없을 것으로 본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부동산 거품 붕괴론’에 견제구를 던졌다. 13일 새해 첫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연 기자간담회에서다.

이날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8%에서 2.5%로 하향 조정했다. 석 달 전인 지난해 10월 2.9%에서 2.8%로 낮춘 데 이어 이날 0.3%포인트 추가로 내려 잡았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예측치는 1.9%에서 1.8%로 0.1%포인트 내렸다.

한은이 올해 국내 경기를 바라보는 시각이 한층 어두워졌다. 기획재정부(경제성장률 전망 2.6%)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ㆍ2.6%)보다 비관적이다. 한은보다 한국 경제 전망을 더 우울하게 보는 연구기관도 많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2.4%로 전망했다. 한국경제연구원(2.1%), LG경제연구원(2.2%), 현대경제연구원(2.3%) 같은 민간 연구기관은 2%대 초반 성장률을 예상했다.

이 총재는 “미 대선 이후 시장금리 상승, 달러화 (가치) 상승,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우려 등 대외 여건이 많이 바뀌었고 국내 상황에서도 경제 외적인 변화가 많이 있었다”며 “민간 소비가 생각보다 더 둔화할 것 같다는 게 이번 (성장률 하향) 조정의 포인트”라고 짚었다.

1300조원으로 차오른 가계부채와 상승세를 탄 대출금리가 맞물려 부동산 가격이 급락할 것이란 우려에 대해 이 총재는 선을 그었다. 그는 “주택 경기와 건설 경기가 최근 수년간 좋았던 것에 비해 둔화하겠지만 건설 경기와 집값의 급속한 조정은 없을 것”이라며 “집값과 금융자산 버블(거품) 상황이라고 보긴 어렵지 않나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미 금리 인상 횟수에 따라 기계적으로 기준금리를 조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꺾인 데 대해 이 총재는 “일시적 요인도 있으니 추세적 둔화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밝혔다.

한은은 경제성장률 관측치를 내려 잡았지만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손대지 않았다. 금통위는 이날 기준금리를 연 1.25%로 유지하기로 의결했다. 지난해 6월 1.5%에서 1.25%로 0.25%포인트 내린 후 7개월 연속 동결 결정이다. ‘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국정 혼란, 소비 절벽, 1300조원 가계 빚,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 출범 등 복잡하게 얽힌 대내ㆍ외 변수에 한은은 일단 ‘현상 유지’를 선택했다. 금통위원 7명 만장일치였다. 경기 둔화를 잡겠다고 기준금리를 내리기도, 미국 기준금리 따라 금리를 올리기도 어려운 여건 때문이다.

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