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젊은층·고령자 맞춤형 임대 확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국내 첫 국민임대주택인 경기도 수원 정자지구 주공아파트.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50% 수준. [사진 LH]

국내 첫 국민임대주택인 경기도 수원 정자지구 주공아파트.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50% 수준. [사진 LH]

두 자녀를 모두 출가시킨 유모(69)씨는 4년 전 서울 양천구의 전용 49㎡짜리 아파트로 입주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은 국민임대주택으로, 임대료가 저렴하고 도심 접근성이 좋다는 점에 끌렸다. 주거비는 보증금 4000만원에 월세 30만원 정도다. 1999년 입주한 인근 A아파트의 같은 주택형(보증금 6000만원, 월세 70만원)에 비해 싸다. 유씨는 “노후생활을 하면서 부담하기에도 괜찮은 수준이라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내년 공공임대 100만 가구 넘어서
창업지원·귀촌 임대주택도 추진

LH의 장기 공공임대주택이 100만 가구 시대를 맞는다. 공공택지 개발 등을 통해 지난 45년간 주택을 공급해온 결과다. LH의 전신인 대한주택공사가 1971년 서울 개봉동에 지은 임대주택 300가구가 효시다. 이를 시작으로 LH가 12월 현재 보유·운영 중인 10년 이상 장기 공공임대는 94만8600여 가구에 이른다. 국내 전체 장기 공공임대 물량의 75% 수준이다. 내년에 8만여 가구를 추가로 공급할 계획이라 내년 중 100만 가구를 넘어설 전망이다.

LH의 전통적인 임대주택 사업은 정부 재정을 지원해 저소득층이 싼 임대료로 살 수 있는 국민임대·영구임대 등이었다. 임대료 수준은 영구임대가 주변 시세의 30% 정도로 가장 싸다. 지난달 서울 노원구 중계동에 공급한 전용 26㎡ 영구임대는 보증금 245만1000원에 월세 4만8810원이었다. 국민임대는 최장 30년간 살 수 있고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60~80% 선이다.

LH는 앞으로 ‘맞춤형’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미 주택 수가 가구 수를 넘어서면서 단순한 주택 공급보다 주거복지가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전국 주택보급률은 103.5%다. 1~2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 등 가구 구조가 바뀐 데다 집값 상승 기대감이 약해져 임대수요가 다양해진 점도 영향을 끼쳤다. 박상우 LH 사장은 “대규모 주택 건설에 편중됐던 주택정책 방향을 맞춤형 공급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관심 대상은 젊은층과 고령인구다. 전·월세난에 따라 소득이 낮은 젊은층과 고령자의 주거 불안이 심각한 상태다. 젊은층을 위한 대표적인 임대주택은 행복주택으로, 대학생·사회초년생·신혼부부 등을 겨냥한다.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60~80% 선이다. LH는 내년에 3만3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또 10%를 넘나드는 청년실업률을 해소하기 위해 창업지원주택도 추진하고 있다. 주거시설 외에 창업 준비에 필요한 회의실, 사무공간 등이 건물에 들어간다.

고령층을 위한 대표적인 임대주택은 공공실버주택이다. 65세 이상이 거주할 수 있는 곳으로, 물리치료실·헬스케어시설 같은 의료시설 등이 건물 안에 들어선다.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30%대다.

LH는 베이비붐 세대와 그 자녀 세대인 에코 세대 간 주거 교류를 위한 귀농·귀촌 임대주택도 발굴하고 있다. 이 주택은 도시에 사는 베이비붐 세대가, 소유한 주택을 처분하지 않고 에코 세대에 빌려준 뒤 받은 임대료로 농촌에서 살 수 있는 방식이다. 일종의 ‘순환형 임대주택’이다. 몇 년 살아본 후 여의치 않을 경우 다시 도시로 돌아올 수 있다는 게 매력이다.

LH는 맞춤형 주택 공급을 통해 현재 5.9%인 국내 장기공공임대 재고율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인 8%대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조성학 LH 공공주택본부장은 “소규모 사업을 위한 소호(SOHO·Small Office Home Office) 공간과 입주민의 라이프 스타일(생활양식)을 고려한 맞춤형 주거공간, 각종 I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홈 등을 미래 주거모델로 삼고 국민의 주거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의영 기자 apex@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