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건국절은 대한민국 정통성 부정하는 반헌법적 주장"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15일 건국절 제정 움직임에 대해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스스로 부정하는 얼빠진 주장”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제71주년 광복절을 맞아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대한민국이 1948년 8월 15일 건립됐으므로 그날을 건국절로 기념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역사를 왜곡하고 헌법을 부정하는 반역사적ㆍ반헌법적 주장”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전 대표는 “지금의 대한민국 헌법은 임시정부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제헌 헌법도 ‘3ㆍ1운동으로 대한민국이 건립되고 제헌 헌법으로 민주독립국가를 재건한다’고 밝혔다”며 “우리가 한반도 유일의 정통성 있는 정부임을 자부할 근거가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그러면서 “임시정부가 국민에게 주권이 있는 민주공화국을 선포한 지 100년이 다가오는데도 우리는 아직 민주공화국을 완성하지 못했고 국민주권도 실현하지 못했다”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며,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헌법 제1조가 실현될 때 우리는 비로소 진정한 광복을 맞이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전 대표는 최근 인천 자유공원을 방문한 사실을 언급하면서 “인천상륙작전의 영웅 맥아더 장군의 동상이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지만, 알고 보면 3ㆍ1 독립운동 이후 한성 임시정부 수립을 결의한 곳도 바로 이곳”이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태동한 곳 중 하나로 역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지금 이곳에는 맥아더 장군의 동상만 있을 뿐 한성 임시정부와 관련해서는 아무런 기념물이나 표지가 없다”며 “독립운동 역사에 대한 우리의 소홀함이 이와 같으니 안타까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문 전 대표는 당 대표 시절이던 지난해 11월에도 “1948년 8월 15일 건국됐다는 주장은 북한을 이롭게 하는 이적행위”라고 비판한 바 있다.

박신홍 기자 jbje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