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상대의 직장 조건 1위 남성 ‘야간근무 없어야’ 여성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결혼상대의 직장에 미혼남성은 ‘야간 교대근무’, 여성은 ‘주말 근무’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정보회사 비에나래는 13일 결혼정보업체 온리-유와 공동으로 7일부터 5일간 전국의 결혼희망 미혼 남녀 510명(남녀 각 255명)을 대상으로 ‘결혼상대의 직장에 있어서는 안 될 근무행태 중 최우선 순위가 무엇입니까?’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다.

미혼 남성은 응답자의 31.8%가 ‘야간 교대근무’로 답했고, 여성은 30.6%가 ‘주말 근무’로 답해 각각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남성은 ‘잦은 국내외 출장’(27.5%) - ‘주말 근무’(22.4%) - ‘잦은 야근’(13.3%) 등의 순으로 답했고, 여성은 주말 근무에 이어 ‘잦은 야근’(27.5%) - ‘야간 교대근무’(20.0%) - ‘주말근무-평일휴무’(16.5%) 등의 순이다.

비에나래 관계자는 “남성들의 경우 배우자가 맞벌이를 하기 원하나 가능하면 결혼생활에 차질이 없기를 바란다”라며 “여성은 주말이나 퇴근 후 등의 시간을 배우자와 공유하기를 원한다”라고 설명했다.

또 ‘결혼상대의 직장이 갖춰야 할 최소한의 복리후생 제도’에 대해 남성 응답자의 28.2%는 ‘출산, 육아 지원’으로 답했다. 그 다음으로 주 5일 근무(25.5%)와 4대 보험(22.0%), 급여 정상 지급(15.7%) 등의 순으로 이어졌다.

여성은 ‘4대 보험’(29.0)을 가장 많이 꼽았고 그 뒤로 주 5일 근무(25.9%), 출산, 육아 지원(20.8%), 급여 정상 지급(15.3%) 등의 순으로 답했다.

온리-유 상담실장은 “남성들은 번식 욕구가 상대적으로 강하므로 배우자가 자녀를 무리 없이 키울 수 있도록 직장이 지원해 주기를 바란다”라며 “한편 여성들은 4대 보험을 배우자는 물론 가족에 대한 최소한의 안전망으로 간주한다”라고 설명했다

배재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