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북한, 응분의 대가 치를 것"

중앙일보

입력

한국을 향한 북한의 위성항법장치(GPS) 교란 공격과 관련해 국방부는 "응분의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방부는 1일 발표한 성명에서 "북한은 3.31(목) 19시 30분쯤부터 군사분계선(MDL) 북방의 해주와 연안, 평강, 금강산 지역 등 4개 지역에서 민간교통안전 등 우리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군사작전을 방해하는 GPS전파교란행위를 지속적으로 감행하고 있다"며 "이러한 북한의 교란행위는 ‘정전협정’과 ‘국제전기통신연합(ITU)' 규정 등을 위반한 명백한 도발행위로서,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GPS 전파교란행위를 지속한다면 우리는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체제를 유지한 가운데 북한이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익명을 원한 국방부 당국자는 "북한의 GPS교란 공격은 수 일 전부터 진행돼 왔고 어제(3월 31일) 오후 7시 30분쯤 수위가 높아져(출력이 세져) 주의 경보를 내렸다"며 "GPS교란 활동은 자신들의 능력을 과시함으로써 대남 긴장을 조성할 목적"이라고 분석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의 GPS교란 전파는 100㎞이상 도달하는 것으로 안다"며 "전파발신지가 황해남도 해주와 강원도 금강산 일대인 점을 고려하면 인천공항이나 동·서행상에서 작전을 펼치고 있는 해군함정과 어업중인 어선들의 GPS장치에 혼선을 주려는 의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2011년과 2012년에도 지속적인 전파교란 공격이 있었으며, 이번에는 280여척의 어선과 여객선 등에 장착된 장비가 먹통이 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군의 피해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군 관계자는 "북한의 GPS 교란 공격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이에 대비해 군은 탐지체계를 운영중이고,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계기관들과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면서 대응하고 있다"고 했다. 특히 군은 북한의 GPS공격으로 항공기나 선박에 피해가 발생할 경우 응분의 대가를 치르도록 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대비하고 있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