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더스는 안보 이해 부족" 공세 나선 힐러리

중앙일보

입력

미국 뉴햄프셔주의 민주당 경선에서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을 꺽었던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이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상원의 북한제재법안 표결에 불참했가 공격을 받고 있다. 클린턴 캠프가 ‘안보 의식 미달’로 걸었다.

클린턴 전 장관 측의 제시 퍼거슨 대변인은 10일 성명을 내 “샌더스 의원이 중차대한 국가 안보 이슈를 놓고 이해 부족을 보여줘 유감”이라며 “스스로 북한이 미국의 가장 큰 위협이라고 말해 놓곤 정작 표결에는 불참했다”고 비판했다. 대선에 뛰어든 여야의 상원의원중 9일 표결에 불참한 이는 샌더스 의원 뿐이다. 공화당의 마코 루비오,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은 모두 참여해 찬성표를 던졌다.

두 후보는 언론에 대북 강경론을 밝히며 ‘안보 주자’ 이미지도 내세웠다. 루비오 의원은 “북한은 미치광이에 지배되는 나라“라며 ”이란과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놓고 분명히 협력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크루즈 의원은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샌더스 의원은 표결 당일 뉴욕을 찾아 흑인 민권운동가인 알 샤프턴 목사를 만나는 등 자신의 취약점인 흑인 유권자 뚫기를 시도하며 유세전에 집중했다. 샌더스 의원은 표결에 앞서 “전체주의 국가 북한은 날이 갈수록 호전적이 되고 있다”며 “우리는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폐기하고 한국에 공격적 자세를 보이는 것을 중단하며 국제 사회의 인권을 지키도록 모든 외교적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제제법안을 지지한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샌더스 의원의 불참에 클린턴 진영은 넘어가지 않았다. 표결 불참이 그간 ‘군 통수권자 힐러리’를 내세우며 샌더스 의원이 안보 이슈에 정통하지 않다고 주장해 왔던 클린턴 진영에겐 호재이기 때문이다. 샌더스 의원이 그간 “북한은 편집증을 보이는 나라로 핵 무기를 가진 독재자가 운영해 매우 걱정된다”고 밝혀 왔다는 점에서 언행 불일치로 비판할 재료도 된다. 의회 전문지인 ‘더 힐’은 “힐러리 캠프는 샌더스 의원이 안보 문제에서 경험이 없다는 점을 노렸다”고 보도했다.

표결 불참으로 논란을 빚은 후보는 이전에도 있었다. 지난해 10월 상원이 국방수권법안을 처리할 때 루비오 의원이 선거운동을 이유로 표결에 빠졌다가 미국 언론으로부터 뭇매를 맞은 바 있다.

워싱턴=채병건 특파원 mfemc@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