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중 FTA 共商·共建·共享] "FTA 시대, ‘승리’의 키워드로 만리장성 넘어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1면

기사 이미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은 한·중 간 ‘비즈니스 패러다임’의 변화를 예고한다. 관세 인하(또는 철폐)로 교역 비용이 줄어들고, 통관 절차 같은 비(非)관세 장벽도 크게 낮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각 기업은 이제 새로운 환경에서 기회를 찾아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전문가들은 FTA시대 중국 비즈니스 키워드로 ‘V·I·C·T·O·R·Y’를 제시한다.

첫째는 가치사슬을 뜻하는 ‘밸류 체인(Value chain)’의 혁신이다. ‘어떤 사업을, 어디서, 어떻게, 누구를 상대로 벌일 것이냐’를 원점에서 재검토하라는 얘기다.

정환우 KOTRA 중국사업단 조사담당관은 “한국에서 부품을 만들어 중국에서 조립하고, 이를 제3국으로 수출하는 기존의 단순 모델에서 탈피해야 한다”며 “FTA 시대에는 한국에서 조립해 중국 소비자에게 팔 수도 있고, 중국에서 부품을 만들어 베트남에서 조립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분업 체계의 조정이다.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밸류 체인은 한국·중국·베트남 등을 넘나들며 형성되고 있다.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시장의 변화를 면밀히 살펴야 한다. 전문가들은 특히 유아(Infant) 시장을 주목하라고 말한다. 중국은 지금도 서울 인구 규모와 맞먹는 1000만 명의 신생아가 매년 태어난다.

정혜선 무역협회 통상연구실 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산아제한 정책 폐지, 구매력을 갖춘 ‘바링허우(80後·1980년대 이후 출생)’ 세대의 출산 연령대 진입 등으로 유아 시장은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분유, 영·유아 전용 세제, 기저귀, 아동복 등이 수혜 제품군이다.

양국 기업 동반성장 위한 분업 체계

안정적인 ‘유통망(Channel)’은 필수다. 변화하는 중국 유통 환경에 적응하고, 중국 소비자와의 다각적인 소통 채널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김주철 KOTRA 창사(長沙)무역관 관장은 “알리바바·탄센트 등이 유통 혁명을 주도하고 있다”며 “그 유통 생태계에 어떻게 올라탈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화점이나 편의점 등 오프라인 매장의 위력은 날로 약해지고 있다. 유통 채널을 다각화해야 한다는 얘기다.

중국인 해외 관광객 소비 욕구 연구

관광(Tour)은 확장성이 큰 분야다. 항공·호텔·카지노·면세점·화장품·의류 등 관련 분야가 ‘유커(遊客)’ 특수를 누리고 있다. FTA로 양국 간 심리적 거리가 가까워지면 이들 ‘유커 산업’은 더 주목을 끌 것으로 보인다.

서영충 관광공사 중국센터장은 “지난해 한국을 찾은 약 600만 관광객은 중국 전체 해외 여행객의 6%에 불과하다”며 “그들이 어디를 가고, 무엇을 사고, 무엇을 먹는지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IT 분야 민영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는 ‘인터넷 모바일 혁명’에서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말한다. ‘O2O (online to offline) 비즈니스’는 이를 상징하는 용어다.

조상래 프래텀 대표는 “중국 대부분의 산업은 지금 인터넷 모바일과의 결합을 추진하고 있다”며 “그들의 플랫폼과 우리의 콘텐트를 어떻게 결합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게임·드라마·캐릭터·웹툰 등 콘텐트 비즈니스에 기회가 있다는 지적이다.

소득수준 향상으로 여가를 즐기려는 중국 소비자가 늘면서 휴양·레저(Recreation)산업이 각광받고 있다. 드라마·공연·영화 등 엔터테인먼트 사업이 바로 그 영역이다. 제주도 등에 휴양지를 조성해 그들이 한국에서 힐링할 수 있게 해주는 것도 방법이다.

많은 이가 한·중 FTA 체결로 가장 직접적인 혜택을 받을 분야로 신선식품을 꼽는다. ‘맛있는’이라는 뜻의 ‘Yummy’를 마지막 키워드로 꼽는 이유다.

무역협회 정혜선 연구원은 “한류 열풍이 겹치며 한국 농식품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한·중 FTA의 48시간 통과 원칙이 우리 기업의 수출 애로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유·김치·통조림·굴 등 안전하고 신선한 먹거리가 중국 식탁에 오를 수 있는 비즈니스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우덕 중국연구소 소장 woodyh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