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노벨상 받으려면 과학기술 연구·교육부터 혁신하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일본의 오무라 사토시(大村智)와 중국의 투유유(屠??), 아일랜드의 윌리엄 캠벨(85) 등 3명의 약학자가 지난 5일 201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발표됐다. 6일엔 일본의 가지타 다카아키(梶田隆章)와 캐나다의 아서 맥도널드가 소립자 뉴트리노 연구로 물리학상을 받게 됐다. 이로써 중국은 화교 아닌 자국 국적자로 첫 수상자를 냈다. 일본 출신의 노벨 과학상 수상자는 21명(국적자 19명)에 이르게 됐다. 인터넷에선 벌써 한·일이나 한·중의 수상자 숫자를 비교한 ‘0대21’ ‘0대1’이라는 말이 돌고 있다.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자부해온 한국 과학기술계에는 충격과 함께 신선한 자극이 될 것이다. 물론 노벨상은 특정 연구자·국가·연구기관의 과학기술이 세계적 수준이라는 증거일 뿐 학문과 연구의 목표는 아니다. 노벨상 수상이 국가 과학기술 정책의 비전이 될 필요도 없다. 다만 이웃국가의 노벨상 수상 소식을 우리의 연구 풍토를 되돌아보는 계기로 삼을 필요는 있다.

 사실 과학적 업적은 대부분 장기간에 걸친 지루하고 반복적인 실험과 검증의 결과물이다. 따라서 업적을 내려면 젊은 과학도와 연구자들이 평생 열정을 간직하면서 한 분야에 몰입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연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기 성과에 집착하고 물량 중심주의에 빠져서는 노벨상은 고사하고 우리가 앞으로 먹고살 원천 과학기술의 확보도 쉽지 않다. 기업이 대학과 연구소의 연구를 꾸준히 지원하는 산학협력도 강화해야 한다. 과학교육을 혁신해 어린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을 계속 격려하면서 체계적으로 지원할 필요성도 크다. 주입식 교육으로는 창의력과 끈기가 바탕인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루기 힘들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을 존중하면서 도전정신을 갖도록 격려하는 사회적 풍토도 절실하다.

 한국이 과학기술 주도국이 되려면 노벨상이 아니라 과학 교육과 연구를 위한 비옥한 토양을 만드는 게 정부와 대학·사회의 목표가 돼야 한다. 그래야 한국이 과학으로 인류에 기여하는 나라가 될 수 있다. 노벨 과학상은 이를 이뤘을 때 따라오는 명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