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核 문제 새 국면] 5자회담 북한 결단만 남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중국이 17일 5자회담(남북, 미.일.중) 개최에 적극적 입장을 밝힌 것은 북핵 문제의 대화 해결과 관련한 긍정적 신호탄이다.

그동안 베이징(北京) 북.미.중 3자회의 후속회담 개최를 바라온 중국이 북한의 동의를 전제로 했지만 한.미.일 3국이 합의한 5자회담에 동조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여기에 북한도 중국을 통해 5자회담 수용 가능성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져 북핵 문제는 새 국면을 맞을 가능성도 있다.

5자회담이 성사되면 이는 지난해 10월 북한의 새 핵 개발 계획이 불거진 이래 최대의 상황 반전이기도 하다. 한국의 정권 교체와 미국의 이라크전 준비와 점령, 한.미 간 불협화음 속에서 이뤄진 지난 4월까지의 대북 대응과 달리 다음 5자회담은 본격적인 문제 해결의 장(場)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5자회담 쪽으로 북핵 해결 구도가 잡혀가게 된 것은 국제사회의 대북 설득과 압박의 양면 전략이 주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한.미.일 3국이 연쇄 정상회담을 통해 공조를 복원하고 북핵 불용(不容), 평화적 해결, 상황 악화시 추가 조치 강구에 합의한 것은 북한을 움직이게 한 직접적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여기에 미.중, 미.러 정상회담과 G8(서방선진 7개국+러시아) 정상회의가 북핵 포기를 촉구하면서 북한에 몰고온 외교적 고립감도 작지 않았을 것이다. 북한의 대량살상무기.마약.위조지폐 등 불법 거래에 대한 전방위 포위망 구축도 북한을 대화로 끌어내는 데 한몫 했을 수 있다.

중국의 적극적인 중재 역할도 무시하기 어렵다. 북핵 문제에 발을 들여놓으면서 동아시아의 정치대국으로 발돋움하려는 중국으로선 이 문제가 평화적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체면을 구기게 된다.

5자회담이 성사되기까지는 우여곡절도 예상된다. 북한은 북.미 양자회담 개최 입장을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워싱턴=김종혁 특파원, 프놈펜=강찬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