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 받은 아베 “한·일 정상회담으로 이어가고 싶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박근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실현에 다시 강한 의욕을 보였다. 아베 총리는 23일 오전 태평양전쟁 오키나와(沖?) 전투 전몰자 추도식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21일 일·한 외교장관 회담에서) 양국 관계 개선의 움직임이 포착됐다. 정상회담으로 이어가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 메이지(明治) 산업시설과 백제 역사지구의 세계문화유산 공동 등록을 위해 한국과 일본이 긴밀히 협의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협력을 합의한 것은 양국에 정말 잘 된 일”이라고 했다.

 한·일 양국은 세계유산 등록 문제와 관련한 막판 조율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최종문 외교부 유네스코 협력대표는 이날 도쿄를 찾아 신미 준(新美潤) 일본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과 메이지 산업시설의 조선인 강제 노동 역사를 어떻게 표현하고 어떤 절차로 반영해 나갈지에 대한 3차 협의를 진행했다. 노광일 외교부 대변인은 “세부 사항 협의를 위해 면담이나 전화 통화 등을 통해 수시로 비공개 접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외교 소식통은 한국 정부의 뜻을 반영해 강제 노동이 이뤄진 시설에 관련 내용을 담은 표지판을 설치하거나 방문자를 위한 자료를 제작하는 등의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국무부는 22일 한·일 관계의 개선 움직임에 대해 환영 입장을 표명했다. 존 커비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분명히 우리는 한·일 관계가 더 넓어지고 깊어지기를 고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커비 대변인은 이날 한·일 관계 개선이 양국 정상회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질문받고 “(한·일 정상이) 기념행사에 서로 참석하기로 한 것은 중요한 단계로 박근혜 대통령도 행사 참석을 원했다”며 “이는 가볍게 볼 게 아니다”고 지적했다. 커비 대변인은 “(두 정상의 행사 참석은) 분명히 양국 간의 관계·협력·대화의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양국 관계의 개선은) 우리가 항상 환영한다”면서도 “정상들이 무엇을 할지를 놓고 나는 예측할 위치에 있지 않다”고 했다.

워싱턴·도쿄=채병건·이정헌 특파원 jhleehop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