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위락·숙박 혼합 ‘풀살롱’ 못 들어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전남 광양에 사는 이모(54·회사원)씨는 가족 5명과 함께 지난달 경남 창원시 진해구에서 열린 군항제 를 구경하러 왔다. 하지만 진해구에서 잘 곳을 찾지 못해 밤 늦게 숙박시설이 많은 창원 상남동까지 갔다. 어렵게 구한 게 룸살롱·카페 등 유흥업소가 딸린 모텔. 이씨 가족은 밤새 불쾌한 소음에 시달려야 했다. 이씨는 “창원이 유흥과 퇴폐문화가 가득한 곳이라는 인식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창원시에서 군항제 같은 큰 행사가 열리면 숙박시설에 대한 불만 민원이 끊이지 않는다. 창원시가 시내 전역에서 유흥주점 등 위락시설이 딸린 숙박시설, 이른바 ‘풀살롱’과 러브모텔·무인텔 등의 신규 건립을 제한하고 나선 이유다.

 창원시는 퇴폐문화와 성매매 등 불법을 조장하는 러브모텔·무인텔 등의 건축물 허가를 해주지 않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미 운영 중인 러브모텔·무인텔은 가족형 또는 비즈니스형으로 바꾸도록 행정지도를 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역 내 숙박업소의 현황을 파악 중이다.

 시가 편안한 숙박시설을 제공해 관광객과 비즈니스맨을 많이 불러 모으겠다는 뜻이다. 업무·숙박시설이 몰려 있는 창원시 상남·중앙동 일대는 일부 호텔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식당과 유흥업소·숙박업소로 돼 있다. 관광객과 비즈니스맨이 투숙할 만한 곳이 제대로 없는 것이다.

 하지만 상업용지에 러브모텔·무인텔을 짓는 것은 현행법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재산권 침해’ 논란이 예상된다. 시가 적극적으로 건축허가를 막고 리모델링 등을 행정지도할 경우 복합건물을 지어 수익을 노리는 토지·건물주의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정근 창원시 도시정책국 건축담당은 “법정소송 등 민원이 발생하더라도 창원시의 미래를 위해 양질의 숙박시설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6일 진주시는 혁신도시 내 상업지역에 위락·숙박시설이 혼합된 복합건물 건립을 불허하겠다고 밝혔다. 대신 온돌 등으로 된 가족실(70% 이상)과 개방형 주차장 설치 등을 권장하기로 했다.

위성욱 기자 w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