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쟁점과 과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마당극을 놀이라고 이야기하는것은 좋다. 놀이속에 내재해있는 연극(드라머) 혹은 연극속에 내재해있는 놀이적 본질을 이해한다면 마당극이야말로 놀이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그러나 서구연극적인 기준에서「놀이는 연극이 아니다」혹은「놀이는 예술이 아니다」라는 입장에서 마당극을 놀이라고 몰아붙이는것은 잘못이다. 하물며 그것이 마당극을 공격하려는 숨은 의도때문이라면 더더욱 그러하다.
그속에 연극과 무용과 편놀이와 제의와 음악과 문학과 이런 모든것을 내포하고 있는, 우리 전통적인 굿 혹은 놀이는 극적인 본질을 내포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오히려 연극을 포함하고 있는 더 넓은 개념에 속한다. 유희는 연극이 아니라고 말한다면 부분적으로 옳을 수도 있다. 그러나 놀이가 연극예술이 아니라는 입장이야말로 놀이에 대한 무지나 전통적인 민족연극에 대한 무관심을 표현하는것에 다름 아니다.
마당극은 물론 연극예술이다. 그러나 일부 예술비평가들의 주장처럼 마당극의 예술성이 마당극의 양식화 문제와 동일한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마당극이 연극 예술로 보여지기는 하지만 하루 빨리 놀이적인 요소를 청산하고 예술로서 승격하기 위해 세련된 양식화가 시급하다는 입장은 타당하지 않다는 말이다.
마당극의 예술성은 연극예술의 보편적인 이념, 즉 리얼리즘의 내용에 의해 결정된다.
내용이 없는 형식이나 양식화만으로 이야기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사회와 정치, 나아가서 인생과 예술을 무자비하게 분리함으로써 자기 완결성과 독립성을 이룩하는「닫혀있는 예술」(?) 의 논리로「열려있는」마당극을 바라볼수는 없는 것이다.
마당극은 민족예술의 정수다. 그것은 리얼리즘의 민족적형식을 갖추고 있다는 의미에서 그러하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마당극은 민족적 리얼리즘을 그 예술이념으로 하는 민족연극예술인 것이다. 그러나 마당극이 이러한 예술이념을 지향하고는 있지만 아직도 많은과제를 안고 있는것 또한 사실이다 .
예술과 놀이를 분리시키고 창조와 향수를 구별하여 연극인이 독점적으로 연극예술을 소유하고, 관중은 단지 향수자·관람자로만 전락시키는 것은 마당극이 취할바가 아니다. 연극예술의 주체는 민중이요 민족이다. 마당극은 민중 스스로가 창조행위에 참여함으로써 창조와향수를 통일시켜 나가는 저 위대한 연극예술의 새로운 지평을 창출해야한다. 그것은 연극적 놀이(극놀이)로 통일되고 있는 촌극과 탈놀이 속에서 이미 발전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한 토대위에서 마당극은 보여주는「연기」라는 행위와 보는「관극」이라는 행위가 열려있는 시공간 속에서 통일되는 바의 그러한 민족연극으로 발전해야하는 것이다.
그러한 과제를 위해서 비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마당극은 비판을 두려워하지 말아야한다. 다양한 비판을 통해서 마당극은 민족적 리얼리즘의 이념을 구체화해 나갈수 있다. 더욱더 다양한 소재와 내용으로 다양한 관중을 예술주체로, 다양한방식의 만남을 실현할수있다.
과감한 실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러한 과정중에 있을지도 모를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아야한다. 외세수의적인 연극 이데올로기와 그 형식적인 멍에에 닫혀있는 일부 연극인과 관료주의 앞에서…. 유해정<연출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