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이겨야 할 선거서 졌다", 안철수 "새 원내대표 합의 추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안철수(左), 김한길(右)

새정치민주연합의 비노무현계 핵심 인사들은 아직 문재인 대표 체제를 흔드는 수준까지는 나아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7·30 재·보선 패배 책임을 지고 공동 대표를 사퇴했던 김한길·안철수 의원의 대응이 대조적이어서 눈길을 끌었다.

 9개월 전 대표직에서 물러나며 “이겨야 할 선거에서 졌다”고 했던 김 의원은 30일 기자들과 만나 “이겨야 할 선거에서 졌다”는 똑같은 말로 입을 열었다. 사실상 ‘책임론’을 제기한 셈이다. 그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다들 걱정이 크다. 나도 고민이 깊다”고 말했다. 기자들이 ‘문 대표가 사퇴해야 하느냐’고 묻자 김 의원은 “내가 할 얘기는 아니다”고만 했다.

 반면 안 의원은 이날 오후 2시 국회 본회의가 열리기 전 문 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면담을 요청했다. 안 의원은 문 대표를 만나 “5월 초로 예정된 원내대표 선거를 합의 추대로 진행하는 게 어떻겠느냐”는 뜻을 전했다.

 “원내대표 선거로 다시 갈등이 표출될 수 있으니 문 대표가 정치력을 발휘해 합의를 이끌어 낸다면 선거 결과가 다시 기회가 될 수 있다”면서다. 문 대표는 “출마자들이 모두 의지가 강해 힘든 일이지만 고민해 보겠다”고 답했다고 한다. 한 참모는 “사람이 어려울 때 벼랑으로 밀어 버리는 건 리더의 자세가 아니다는 게 안 의원의 생각”이라고 전했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도 기자간담회를 열어 “진보는 분열하지 말아야 한다는 게 이번 선거의 준엄한 가르침”이라며 “단기간에 지도부를 흔들고 바꾸는 일은 그만하는 게 옳다”고 문 대표를 엄호했다.

 지난 2·8 전당대회에서 문 대표와 대결했던 박지원 의원은 “야당에 기울어진 운동장을 호남에서 지탱해줬는데, 이런 결과가 나온 건 모두 우리 당의 책임”이라며 "머릿속에 있는 모든 걸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종문 기자 person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