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역 이름 바꾸자" vs "바꾸면 예산 낭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다음 달 2일 호남고속철 개통을 앞두고 경부·호남선 분기점인 충북 오송역이 개명 논란에 휩싸였다. 청주시 의회는 오송역이 청주시 관문 역할을 하는 만큼 ‘청주 오송역’으로 바꾸자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오송 주민들은 “무슨 소리냐”며 발끈하고 있다.

 오송역은 청주시와 청원군으로 나눠져 있던 때인 2010년 11월 1일 개통했다. 당시 청원군은 ‘오송역’을, 청주시는 통합을 염두에 두고 ‘청주 오송역’을 제안했다. 이후 한국철도공사가 역명심의위원회를 열고 오송역으로 결정했다.

 하지만 호남고속철 개통을 계기로 청주시의회가 논란에 불을 지폈다. 김기동(51) 청주시의원은 “호남고속철도 개통으로 오송역의 위상이 달라진 만큼 이름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청주 오송역 또는 청주 세종역으로 바꾸면 청주 오송과 세종의 위치를 더 정확히 알리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오송을 지역구로 두고 있는 박노학(48) 시의원이 반박했다. 박 의원은 “지역 주민들과의 공감대 없이 무리하게 변경을 추진하면 갈등만 불러 일으킬 수 있고 예산 낭비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청주시는 역 이름을 바꾸면 4억원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고속도로 나들목과 청주시내, 역 주변 간판을 바꾸는 데 드는 비용이다.

 주민들 의견도 분분하다. 주민 하모(68·여)씨는 “오송보다는 청주가 지역을 대표하는 지명이니 역 이름에도 청주 지명을 넣는 게 맞는 것 같다”고 했다. 반면 오송역세권원주민대책위 최병우(55) 위원장은 “오송바이오엑스포가 열리는 오송은 이제 국내 바이오산업의 대명사가 됐다”며 “오송을 브랜드로 한 화장품뷰티박람회 개최 등으로 대외적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개명은 적절치 않다”고 반대했다.

 이승훈 청주시장은 “오송 주민들 동의가 있을 때 명칭 변경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철도역 이름은 위원장 1인과 15인 이내의 전문가로 구성된 역명심의위원회를 거쳐 결정된다. 단 해당 지역 주민 반대가 없어야 바꿀 수 있다.

최종권 기자 choig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