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김치 파동, 중국 반격 시작됐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지금까지 파악된 내용을 보면 중국 측의 조치에 석연찮은 구석이 적지 않다. 우리 정부는 거론된 업체 대부분이 올해 중국에 김치를 수출한 실적이 없다고 밝혔다. 또 고추장과 불고기 양념장의 경우 제조 과정에서 고온 살균 처리를 하므로 기생충 알이 잔류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한다. 이런 까닭에 일부에서는 문제 제품이 중국시장에 나도는 유사 상표 제품일 가능성까지 제기하고 있다.

중국 측의 조치는 존중되어야 하지만, 상대국이 있는 만큼 의문을 남겨서는 안 된다. 중국 측은 제품 수거 경로와 검사 과정 등에 대한 자료를 우리 측에 제공해 경위를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 그래야만 이번 조치가 감정적 대응이나 보복이 아니라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거론된 김치 제품 가운데엔 까다로운 검사를 거쳐 일본에 수출하는 대기업도 포함돼 있는 만큼 또 다른 피해를 막기 위한 의혹 해소는 꼭 필요하다.

이번 김치 파동을 통해 한.중 양국이 안고 있는 식품행정의 문제점이 그대로 드러났다. 중국에선 한국인 영세업자들이 비위생적 환경에서 저급품을 헐값에 생산.수출하고, 한국에선 허술한 감독 체계와 구멍 뚫린 검역으로 인해 유해 먹거리가 무차별 반입됐다. 따라서 한.중 양국 정부가 서로 협조해 제도와 관행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중국산 활어를 한국에 수출하려면 중국 당국의 위생증명서를 의무화하도록 최근 양국 장관이 합의한 '한.중 활어 위생 약정'이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