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 병사들 생활환경 확 바뀐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여름에는 잡초뽑고, 겨울에는 눈치우고…

내년부터 최전방 부대 병사들에겐 옛 얘기가 될 전망이다. 최전방 일반전초(GOP) 부대의 잡초제거와 청소 등을 민간 용역으로 전환키로 했기 때문이다. 국방부는 전날 국회 국회 국방위에서 의결한 내년 국방예산안을 토대로 달라지는 내년 병영문화 주요 내용을 13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철책을 지키는 육군 11개 사단의 부대 주변 정리 작업은 민간에 넘기게 된다. 240억원을 들여 1개 대대에 5명의 민간인을 투입해 용역을 준다는 방침이다. 병사들은 자신의 관물대와 침대 등 개인 공간만 관리하고 나머지 작업은 민간 용역회사 등에 맡기는 방식이다. 그야말로 전방에 근무하는 병사들의 근무환경이 획기적으로 변하는 셈이다. 국방부 당국자는 "청소와 작업을 아예 없애 이와 관련한 서열문화가 없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방 곳곳에 탄약을 보관하는 탄약창 9곳(38억원)과 서부전선 일대 접적(接敵) 지역을 경계하고 있는 해병대 2사단(27억 1000만원) 역시 부대 관리는 외부에 위탁키로 했다.

국방부 당국자는 “당초 군에서는 동부와 서부 각 1곳의 사단을 지정해 시험운영을 한 뒤 전방 전 사단으로 확대할 예정이었다”며 “경계와 전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전방 근무여건 개선과 병영문화 혁신을 주문하는 국회 국방위가 오히려 예산을 늘렸다”고 말했다.

GOP등 접적지역 근무자들의 수당을 현재 3만 1500원에서 6만 5000원으로 인상하기 위한 예산 176억원도 추가 확보했다. 국방위 예산안이 확정되면 특수지 근무수당이 대거 인상되는 셈이다. 이같은 안이 최종확정될 경우 갑 지역에 근무하는 병사는 현재 월 3만 1500원에서 6만 5000원의 수당을 받게 된다. 을 지역의 경우는 현재 1만8200원에서 5만 5000원으로 오른다.

이와함께 이전 계획이 잡혀 있어 보수와 유지비 지원이 중단됐던 부대의 생활관(내무반), 세면장 등 과밀하고 열악한 생활환경 개선에 230억원이 편성됐다. 또 수신용 공용휴대폰 지급에는 25억원, 응급후송능력 및 시스템 구축에 12억 4000만원이 배정됐다. 군 관계자는 “22사단 총기난사사건과 28사단 윤 모 일병 사건 등으로 제기된 병영문화 혁신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이와 별도로 국방위는 바둑보급을 통한 장병들의 인성 교육 차원에서 5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그러나 국방부와 민관군 병영혁신위원회가 장병들의 리더십과 인성교육 강화에 필요하다며 요구했던 36억 5000만원은 전액 삭감됐다. 국방부는 병 리더십 교육 교관 운영과 컨텐츠 및 교관 양성 지원등에 예산이 필요하다고 했지만 국회 국방위 심의과정에서 배제됐다. 60억원들여 추진했던 국방행동과학연구소 설립 예산도 삭감됐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