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장엔 이성호 차관 유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여야가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7일 처리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장차관급 네 자리에 대한 인사 수요가 발생했다. 여기에 청와대엔 빈자리가 많고 내각엔 교체설에 휩싸인 장차관이 많아 소폭 개각을 함께 단행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신설될 국민안전처장(장관급)과 해양경비안전본부장·중앙소방본부장·인사혁신처장(이상 차관급) 가운데 국민안전처장의 경우 이성호 안전행정부 2차관이 유력하다고 정부 관계자들은 말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육사 33기인 그를 세월호 사고 후 안행부 2차관에 임명할 때부터 국민안전처장을 염두에 둔 인사란 얘기가 있었다. 국방대 총장과 합동참모본부 군사지원본부장 등을 지낸 이 차관은 2011년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된 삼호주얼리호를 구출한 아덴만 여명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들 외에도 내각에선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이 세월호 수습이 끝나는 대로 사퇴하겠다는 입장이다. 청와대는 이 장관이 해수부를 더 이끌어주기 원하지만 이 장관의 의지가 굳다고 한다. 지난 9월 국민은행 내분 사태로 경질설에 휩싸였던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에 대해서도 교체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방산 비리 논란이 불거지면서 이용걸 방위산업청장의 거취를 놓고도 청와대 고민이 깊다고 한다.

 또한 청와대엔 빈 자리가 세 개(교육문화수석, 관광진흥비서관, 인사혁신비서관)가 있다. 신설될 재난안전비서관도 임명해야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곳곳에 인사 수요가 있는 만큼 국민안전처장 선임을 전후해 함께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며 “다만 기존 장차관급 인사들의 거취는 아직 고민이 깊은 상태”라고 말했다.

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