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대화 정례화 … 북 진정성 있는 행동 기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박근혜 대통령이 6일 황병서 총정치국장 등 북한 고위급 대표단의 방문에 따른 남북 접촉과 관련해 “고위급 접촉이 단발적인 대화에 그치지 않고 남북대화의 정례화를 이뤄 평화통일의 길을 닦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며 “북한도 이번 방한에서 언급한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진정성 있는 행동으로 보여줄 것이라고 기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어 “이번 방문을 계기로 남북이 대화를 통해 평화의 문을 열어나가기를 바란다”며 “이번에 남과 북이 제2차 고위급 접촉을 하기로 합의한 것은 향후 남북관계 개선에 전기를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언급한 ‘남북대화 정례화’에 대해 “그동안 기회 있을 때마다 박 대통령이 강조해온 사안”이라며 “황 총정치국장 등의 방문 때문에 특별한 의미를 두고 한 발언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10·4 회담이 남북관계 개선의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기류가 있다”며 “다만 문제는 이달 말이나 내달 초 열릴 2차 고위급회담 때 북측이 어떤 자세로 나오느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 총정치국장 등의 방남이 극적이긴 하지만 일회성 행사만으로 남북 간에 신뢰가 쌓이는 건 아닌 만큼 청와대는 일단 신중한 모습이다. 통일부 임병철 대변인이 이날 5·24 제재 조치 해제 가능성에 대해 “우리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북한의 책임 있는 조치가 선행돼야 5·24 조치가 해제될 수 있다”며 정부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건 그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일명 김영란법(부정청탁금지법안)에 대해 “부정부패 방지를 위한 소위 김영란법도 하루빨리 통과되도록 힘써 주시길 바란다”며 “김영란법이 통과됐을 때 진정한 개혁의 의지와 또 그 첫걸음을 보여주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개헌 논의와 관련, “장기간 표류하던 국회가 정상화돼 이제 민생법안과 경제 살리기에 주력해야 하는데 개헌 논의 등 다른 곳으로 국가 역량을 분산시킬 경우 또 다른 경제 블랙홀을 유발시킬 수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박 대통령은 “지금 우리에게는 그 어떤 것도 경제 살리기에 우선할 수 없다. 경제 회생의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고 국가 대혁신 과제도 한시가 급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박 대통령이 개헌 논의에 반대 입장을 밝힌 건 올 초 신년 기자회견 때에 이어 9개월 만이다. 당시에도 “워낙 큰 이슈이기 때문에 한번 시작되면 블랙홀같이 빠져든다”고 했었다.

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