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도시철도 백지화 수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창원시가 2008년부터 추진하던 도시철도 사업을 백지화할 것으로 보인다. 창원시는 15일 개최된 도시철도 민관협의회에서 “최근 자체 검토 결과 사업을 백지화하는 쪽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날 협의회에 참가한 10명의 위원 대다수도 시 입장에 수긍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가 사업 중단을 검토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사업비 때문. 애초 마산합포구 가포동에서 진해구 석동까지 30.36㎞에 노면 전차를 건설하는 데 7232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물가상승률과 추가 공사비 등을 고려하면 2000억원이 더 들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게다가 정부와 더불어 사업비 일부를 부담할 경남도가 사업 실효성에 비판적이라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시는 이용객도 수요예측(하루 11만1860명)의 절반 정도에 지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도시철도가 운영되면 기능이 축소될 수밖에 없는 대중교통업계의 반발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민관협의회는 다음달 한 차례 더 회의를 열어 최종 의견을 안상수 시장에게 전달하기로 했다. 안 시장도 당선 이후 지금까지 이 사업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도시철도사업 현장을 찾아서는 “지역 교통체계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대형사업인 만큼 추진에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칫 창원시 재정 건전성에 치명적인 부담을 안길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민관협의회에서 백지화로 의견이 정리되면 안 시장도 그대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창원 도시철도 사업은 2011년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2012년 국토교통부 기본계획 승인 고시까지 진행됐다. 입찰방식 심의와 기본·실시설계 등의 과정이 남아있는 상태다. 2015년 말 착공해 2020년 준공, 2021년 운행이 목표였다.

위성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