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기 직업훈련 과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지난7월30일 단행된 「교육개혁」을 보완하기 위한 후속조치의 하나로 문교부는 산업체 근무자 및 대학 미진학자 들이 전문대학에서 6개월 내지1년 동안 직업교육을 받을 수 없는 비정규 단기교육 과정을 신설키로 했다.
지역사회의 교육수요가 있는 수준이상의 전문대학에 설치 운영할 수 있도록 한 이 특별교육 과정의 대상자는 성별이나 연령·학력상의 제한이 없으며 6개월∼1년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3개월 과정을 들 수도 있도록 했다는 것이다.
산업사회에 있어서 직업훈련은 생애교육의 일부분이라는데 그 특징이 있다. 정규교육이 일정연령에서 그치는데 반해 직업교육은 기초훈련, 향상훈련, 재교육 등 여러 형태를 통해 일생을 두고 계속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앞으로 우리나라의 인력수요의 구조는 현재와 같은 과학자·기술자·기술공·기능공·일반노무자라는 순위의「피라미드」형이 아니고 중간기술계층을 많이 필요로 하는「항아리」형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대학 미진학자나 재수생들에게 대학교육 기회를 준다는 의미에서 뿐 아니라 어떤 직업인이건 필요에 따라 자기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평생교육의 기회를 대폭 확대했다는 점에서 이번 조치는 원칙적으로 바람직한 일로 보여진다.
그러나 교육기회를 방만하게 확대하는 것만으로 우리산업 사회가 절실히 요구하는 기술인력을 양성할 수 없다는 사실을 유념치 않으면 안 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들을 한사람 몫의 기술인·기능인으로 육성하기 위한 여건부터 마련하는 일이라 하겠다.
현재 1백28개에 이르는 전문대학이『국가사회의 발전에 필요한 중견직업인 및 중견 산업기술자를 양성한다』는 당초의 목적과는 달리 거의 대부분이 시설기준에 조차 이르지 못하고 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농업이나 예능계를 체외하고 공업계전문대학의 경우는 특히 그렇다. 일부 전문학교 가운데는 일반교실 및 관리실 등 기초적인 시절마저 갖추지 못한 곳이 상당수 있어 학생실기지도가 형식에 이르고 있으며, 현장실습을 제대로 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기까지 했다.
교수진확보에 있어서도 법정정원을 채우지 못해왔다. 비교적 틀이 잡힌 학교가 정원의 70%정도이고 대부분이50%정도를 확보하고 있을 뿐이며 그나마도 대우가 나빠 질이 낮은 편이었다.
이런 여건 하에서의 교육이 내실을 기하지 못해왔다는 것은 당연한 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전문학교졸업자들의 취업률이 73년이래 계속 하락추세에 있었던 것도 이러한 사정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직업인에게 평생교육의 기회를 주고 미진학자에게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한 문교부의 조치에 대해 원칙적인 찬의를 표하면서도, 한편으로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과감한 교육투자를 요청하게 되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 다시 말해 전문학교가 명실공히 직업교육의 장이 되도록 하기 위한 제도적 기틀부터 마련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투자를 충실히 늘려나가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기술교육이 값비싼 교육이란 사실을 다시금 명기해야한다. 낭비가 있어서는 안되지만 필요한 만큼의 투자에 인색하지 앓아야만 우리사회가 필요로 하는 기술인구를 양성,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