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북핵 무력해결 않기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한.미 양국 정부는 29일 북한 핵문제를 이라크와 달리 군사적인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외교적인 방법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한다는 기본원칙에 합의했다.

양국은 또 북한 핵문제를 다자간 대화의 틀 속에서 해결키로 하고 북한을 이른 시일 내에 대화로 유도하기 위한 로드맵(road map.단계적 해법)을 마련하기 위해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방미 중인 윤영관(尹永寬)외교통상부 장관은 29일 워싱턴에서 열린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과의 회담에서 이같이 합의했으며 이로써 노무현(盧武鉉)정부 출범을 전후해 한.미 간에 북핵 해법을 두고 벌어진 논란이 가라앉게 됐다.

尹장관은 회담 결과 설명을 통해 "미국이 이라크 다음으로 북한을 공격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그러나 "파월 장관과 딕 체니 부통령, 콘돌리자 라이스 백악관 안보보좌관은 북한과 이라크의 상황과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접근법이 다를 수밖에 없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尹장관은 또 북한이 핵문제를 악화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북한을 다자간 대화에 참여토록 하는 방안을 미측에 제안했으며, 이에 대해 파월 장관은 "흥미로운 접근법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 측이 제의한 로드맵은 북한이 핵포기에 성의를 보이면 한.미.일.중.러가 북한에 체제 보장과 에너지.경제지원을 하는 포괄적 방안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尹장관은 30일 일본을 방문해 가와구치 요리코(川口順子)외상과 회담을 하고 미측에 제의한 로드맵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30일부터 4월 2일까지 러시아와 중국을 잇따라 방문하는 라종일(羅鍾一)국가안보보좌관도 한.미간 논의한 로드맵에 대해 설명할 것으로 전해졌다.

미측은 우리 정부의 대북 정책기조인 평화번영정책에 대한 지지 입장을 밝혔다고 尹장관은 전했다.

워싱턴.도쿄=오영환 기자, 서울=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