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해수욕장 백사장 복구 방법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포항 송도해수욕장의 백사장이 옛 모습을 되찾을 수 있을까.

1970년대 경북 동해안의 최대 피서지로 포항 경제에 큰 힘이 됐던 송도해수욕장의 복구 여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70년대 70~80m에서 현재 20~30m로 폭이 좁아진 백사장을 원상 회복하는 것이다.

송도해수욕장의 모래 유실 상태 등을 조사한 한국해양연구원은 최근 용역조사 결과 보고회를 통해 바닷속에 보를 설치한 뒤 모래를 퍼 넣는 식의 백사장 복구 방안을 내놓았다.

수심 5m지점에 길이 2백m정도의 보 두 개를 설치한 뒤 다른 바다에서 13만t의 모래를 채취해 채워 넣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5년마다 모래를 보충해 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포항경실련은 보를 만들더라도 모래를 막기엔 역부족이란 주장이다. 포스코가 해수욕장 앞 바다의 모래를 파내 공장 터 매립에 사용하면서 바닷속 모래밭이 절벽 형태가 돼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보를 설치하더라도 모래가 계속 쓸려 나갈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수중 보가 태풍.해일 등 자연재해에 견디기 어려울 것이란 점도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근거다.

경실련은 동빈동 내항으로 흐르던 형산강의 물길이 막히고 포스코가 바다를 매립해 만든 투기장이 바닷물의 흐름을 바꿔 근본적인 복구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용호(44)도시환경위원장은 "해양연구원의 복구 방안은 미봉책에 불과하지만 그렇다고 해수욕장을 포기할 수도 없는 일"이라며 "이번 조사 결과가 송도를 살리는 시발점이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포항시는 송도 백사장을 가로지르는 해안도로 건설공사를 즉각 중단하고 송도를 살리기 위한 종합적인 개발계획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한편 송도해수욕장 상가 주민들은 포스코가 들어선 이후 백사장 유실로 관광객이 크게 줄었다며 1998년 민원을 제기했다.

연구원은 조사 결과 모래 유실로 인한 각종 피해액은 4백26억4천만원이며 이 중 포스코의 책임 분담액은 3백36억6천만원으로 집계했다.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