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회복지 대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지금 서울에서 열리고 있는「아시아」및 서 태평양지역 사회복지대회는 국내뿐 아니라 세계의 관심 있는 사람들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아 마땅하다. 국제사회복지협의회「아시아」및 서 태평양지역 사무소와 한국복지협의회의 공동주최로 지난 3일부터 닷새동안 열리게 된 이 대회에는 13개국 1백50명의 외국대표와 한국대표 2백명이 참가하여 그 규모에 있어서도 방대한 국제회의이다. 뿐더러 이번 회의는「아시아」지역 첫 대회를 바로 한국이 유치했다는 점에서 특기할만한「이벤트」이기도 하다.
대회의 의제가 되고 있는『사회변화에 따르는 사회복지기준의 개발』에 관한 문제는 바야흐로 범세계적인「이슈」라 하겠으나 특히 오늘의 한국에 있어 가장 절실한 요청이라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UN이「글로벌」한 차원에서 후진국의 「개발의 연대」로 규정했던 60년대에 있어 한국은 가장 높은 경제성장을 이룩한 몇 나라 가운데 하나이며, 그것은 달리 말하면 한국이야말로 지난 10여년 동안 가장 격심한 사회변화를 경험한 나라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60년대의 경험은 그러나 경제발전이 곧 사회복지의 발전에 직결되지 않을 뿐 아니라, 어떤 이에서는 그에 역행할 수도 있다는 교훈을 주었다는 점에서도 한국은 두드러진 위치에 있다.
물론 지난 60년대 한국의 경제발전이 절대적인 빈궁의 극복과 어느 정도 고용수준의 향상을 가져왔었다는 점은 엄연한 사실이다. 그러나 그 반면에 경제의 고도성장은 빈부의 격차를 더욱 크게 하고 일반서민의 상대적인 빈곤의식을 조장하였으며, 또 선진국 수준의 공해증대로 말미암아 이른바 건강한「환경」을 보다 고가한 것으로 만들어 놓고 말았다.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지난 60년대의 경제발전은 사회복지 적 배려의 희생 위에서 이룩되었다 해도 결코 지나친 망언은 아니다. 성장이 곧 행복으로 실감되지 못하고, 점 고하는 불만이 축적돼가고 있는 이유도 그 원인이 바로 거기에 있다.
지난날 우리의 복지정책이란 국가예산 중 사회복지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겨우 그 2%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실정만 보더라도, 얼마나 경시되었던 가를 알 수 있다. 요컨대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정책이란 개발정책가운데서 가장 미개발 된 후진영역이었던 것이다.
사회복지의 기준이란 지역에 따라 그리고 또 시대에 따라 상위하고 변경하게 마련이다. 더욱이 공업화를 지향하는「다이내믹」한 사회에 있어서는 사람들의 욕구의 기준과 대상, 사회의 수요와 가치체계도 함께 변화를 겪는다. 그렇기에 어제의 사회복지의 수준이 그대로 오늘의 그것으로 적용될 수는 없다. 이번 대회가 바로『사회복지기준의 개발』을 의제로 잡은 것도 그것을 시사하고 있다.
대회에 참가한 나라들을 보면 호주·일본 등의 선진국에서부터 인도·「파키스탄」과 같은 후진국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경제발전의 수준과 사회제도가 상 위한 각국 대표들이 개진하게 될 상이한 경험 및 의견들이 한국에 적정한 사회복지계획의 입안과 실천에 좋은 반생의 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정부와 학계, 그리고 관계기관이 이번 대회에서 많은 것을 학습하고 그것이 효과적으로 정책에 반영됨으로써「아시아」지역에서 사회복지대회를 최초로 개최한 면목을 세워주기를 당부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