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심사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시조」라는 일컬움은 곧 「시대의 가락」이란 말이다. 우리 선인들이 「우리의 시」를 읊으면서 그들의 「시대」를 자각했던 흔적이 이로써 역연함을 알겠다. 함에도 오늘에 시조를 쓴다는 후학들이 자기네의 시대, 즉 「현대」를 너무도 감각하지 못하는 것같다.
예선에 뽑혀온 많은 작품 중에서 이응수씨의 『만추』외 2편, 이경희씨의 『청자』외 1편, 한지현씨의 『나의 방안에는』, 강동길씨의 『귀자상감운학문병』외 1편, 유제하씨의 『석굴암원경』 『불꽃놀이』, 최석씨의 『가족』 『잔설』, 김제민씨의 『부부』 『혼수』등 제제다사의 작품들이 다 그만그만한 재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그 재주가 심장에서 우러난 것이기보다 대부분 손끝에서 주물러진 것이 아닌가 싶다.
그리고 우선 그 제목들이 풍기는것이 시대적인 자각보다 미리 의논이나 한것처럼 모조리 참고적이었다.
하여도 이중에서 제일 기능이 빼어난 것은 『귀자상감운학문병』이고 부족한대로 그「이미지」에 앞날을 기대하고 싶은것은 『불꽂놀이』와 『부부』였다.
『귀자상감병』이 아무리 빼어나도 고려의 비기앞에서는 오히려 무색하고. 『부부』의 궁상에 동정이 가지만 걸음마를 익히다가 단숨에 날(비)려고 하는것은 보기에 딱하다.
부득이 『불꽃놀이』로 당선작을 삼는다.
이것이 과연 당선작이 될 수있을 것인가? 한마디로 말해서 많이 부족하다. 그러나 앞날에 피나는 노력을 짐지우기 위하여 과분한 영광을 돌리는 것이니 아프게 받아서 다음날 기대에 보답있기를 바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