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官街도 소수파가 뜬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노무현 정부의 초대 내각의 윤곽이 드러나면서 사회 주류(主流)의 교체 양상이 드러나고 있다.

정부 주요 요직에 제도권 내 인물의 기용폭이 넓지 않은 반면 그동안 비주류로 분류되던 그룹에서 활발히 활동한 이들이 대거 포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참여정부의 탄생이 정권의 이동에 그치지 않고 마이너리티의 약진을 통한 주류세력의 지형 변화를 낳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기류에는 盧대통령이 주요 인선에서 관료나 관변단체와는 확연히 다른 목소리를 내온 시민단체에서의 활동 경력이나 후보자에 대한 시민단체의 의견을 비중있게 참고한다는 점이 작용한다.

법무부 장관에 내정된 강금실(46)변호사는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의 부회장. 1993년 사법파동 때 '평판사회의'설립을 주도하고 5공화국 정권 하에서는 집시법 위반으로 즉심에 넘어온 대학생들을 줄줄이 석방했던 그는 재야 법조계의 지원을 받았다.

노동부 장관에 유력한 김금수(66)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은 한국노총 연구위원 및 정책연구실장과 민주노총 지도위원 출신으로 노동운동계의 대부로 불린다. 노동계가 강력히 추천했다고 한다.

경실련에서 활동한 허성관 동아대 교수가 대통령직 인수위원에 이어 해양수산부 장관에 내정된 것으로 알려지는 등 盧대통령은 학자들 중에서도 시민단체 활동 경력이 있는 이들을 선호해 왔다.

반면 초대 내각 후보로 최종 거론되는 이들 중 정통 관료 출신은 김진표(재경)국무조정실장.박봉흠(기획예산처) 현 예산처 차관 등 극소수에 불과하다.

김대중(金大中)정권 출범 당시 조각에는 박상천(법무).천용택(국방).이해찬(교육).강창희(과학기술).신낙균(문화).김선길(해양).이정무(건교)씨 등 정치권 인사들이 대거 포함됐다.

그러나 이번 조각에서 정치인의 참여는 최소한으로 줄어들 것이란 게 대통령 측근들의 설명이다. 총선에 대비해야 한다는 이유지만 盧대통령이 정치인들의 개혁성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분석도 있다.

노무현 정권에서는 세대교체 현상도 뚜렷하다. 수석급 이상을 제외한 청와대 비서실의 경우 盧대통령의 측근 그룹뿐 아니라 외부 영입 인사의 경우에도 대부분이 30~40대다.

청와대 비서관 중 50세 이상인 경우는 盧대통령의 변호사 사무장을 지낸 최도술(56.총무).김용석(53.시민사회2)씨 등 서너명에 불과하다.

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