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과학기술 일자리 64만개 위해 92조 푼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정부가 올해부터 2017년까지 과학기술 연구개발(R&D)에 92조4000억원을 투자해 64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기본계획을 내놨다. 이전 정부 때보다 R&D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일자리 창출 목표치를 처음으로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정부는 8일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제1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를 열고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을 확정했다.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르면 정부는 5년마다 과학기술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명박정부(2008~2012년) 때엔 66조5000억원의 R&D 투자 계획을 내놓았다. 이번 투자 규모는 이전 정부보다 25조9000억원 늘어난 것이다.

 3차 기본계획엔 ▶국가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효율화 ▶120가지 국가전략기술 및 30가지 중점기술 개발 ▶중장기 창의 역량 강화 ▶신산업 창출 지원 ▶일자리 확대 등 과학기술 고도화 등의 5대 전략이 담겼다. 이를 통해 2017년까지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달성하고, 64만 개의 새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1·2차 기본계획이 기술개발 역량을 높이고 인력을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춰온 반면, 3차 기본계획은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일자리를 늘리는 것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기술창업을 지원하는 체계를 만들고, 장비 엔지니어·빅데이터 전문가 등 새로운 과학기술 일자리를 만들기로 했다.

 박항식 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조정관은 “3차 기본계획은 연구개발부터 신산업, 일자리 창출까지 과학기술 혁신의 전 과정을 담은 것으로 이를 통해 창조경제가 실현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부는 내년 초 30가지 중점기술에 대한 범부처 차원의 전략 로드맵을 제시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국가과학기술심의회도 함께 출범시켰다. 이명박정부 때 만들어진 국가과학기술위원회(장관급 위원장)에서 과학기술 정책 기획·조정과 예산 배분 기능을 미래부로 이관하고 남은 정책심의 기능을 담당한다. 정 총리가 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장관과 각계 전문가 10명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이번에 위촉된 민간 위원은 김진형 KAIST 전산학과 교수, 안동만 한서대 항공전자공학과 교수, 김영준 광주과학기술원 총장, 안순신 고려대 전자공학과 교수, 유욱준 KAIST 의과학대학원 원장, 구자열 LS그룹 회장, 송종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송규영 울산대 의대 교수,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대표이사, 신용현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회장이다.

김한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