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EA, 북핵 원상회복 촉구

중앙일보

입력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6일 오스트리아 빈 본부에서 특별이사회를 열어 북한의 핵동결 해제와 관련해 "북한의 일방적 조치를 강력히 개탄한다"는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또 한국정부는 7일 임성준(任晟準)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을 미국에 급파할 예정이며, 한.미.일 3국은 6일 오후(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리는 3국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회의를 개최하는 등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해법 조율이 본격화된다.

IAEA는 35개 이사국이 참가한 가운데 나온 결의안에서 핵시설 봉인 및 감시장치의 복원허용과 사찰관의 복귀 등 필요한 안전조치의 이행을 북한당국에 촉구했다. 또 고농축 우라늄을 이용한 핵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해명과 ▶모든 핵무기 프로그램의 신속하고 검증가능한 방법을 통한 폐기▶IAEA의 북한 내 모든 핵물질에 대한 검증▶1차적 조치로서 IAEA와 북한 관계자의 즉각 협의 등도 요구했다.

외교 당국자는 "북한에 대해 결의를 이행할 시간과 기회를 주고 추가조치 여부를 IAEA가 다시 검토하게 될 것"이라며 "결의안 이행이 없을 경우 북핵문제를 즉각 유엔 안보리에 회부하는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워싱턴을 방문하는 임성준 외교안보수석은 콘돌리자 라이스 백악관 안보보좌관과 리처드 루거 상원 외교위원장(공화), 리처드 아미티지 국무부 부장관 등 행정부 및 의회 관계자와 연쇄접촉해 북핵 대응과 관련한 한.미 간 입장 조율을 시도한다.

任수석은 기자들과 만나 "북한 핵문제와 관련한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시각, 특히 金대통령이 생각하는 해법을 미국 측에 솔직하게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무현 대통령당선자와 미국의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이 같은 일련의 협의를 바탕으로 이달 중순부터 특사를 교환, 양국의 이견을 조정하고 한.미 동맹 강화 방안을 집중 협의하게 될 전망이다.
[빈.워싱턴=유재식.김진 특파원]jsyoo@joongang.co.kr
[서울=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